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신종감염병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
이용수 203
- 영문명
- Factors Influence the Preventive Behavior Intent against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이혜진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2, 201~20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의 세계 대유행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신종감염병 예방행동의도영향 요인을 살펴본 연구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사 결과 2학년 학생들에서 예방행동의도가 4.11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건강행태 결과에서는 섭식상태에서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심각성’ 요인은 예방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164) 셋째, ‘민감성’ 요인은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BM연구에서 민감성은 중요요인으로 예방행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이 높을수록 반대로 예방행동으로 인한 손실이 낮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나 예방행동의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민감성이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는 감염병에 대한 안전불감증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부정적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인지적 경향 보여진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주요 변수에서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β.640).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degree of preventive behavior of new infectious diseases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seek a practical plan for preventive behavior.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gree of preventive behavior of new infectious diseases in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the university of D city material by applying the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Results: Research Results First, Severity factors and preventive behavior intent are associated(β.164). Second, no association between the susceptibility factor and the prevent behavior intent. Third, Self-efficacy factors affected preventive behavior intent the most(β.640). Conclusions: The recommend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uture, institutional supplements and measures to foster the correct awareness level for new infectious diseases and raise the understanding of public health in a state whe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infectious diseases is high, first, regular survey and analysis, secondly, School health education, thirdly, concrete and practicable measures for one's own health management dimension should be introduced preemptively.
목차
1. 서론
2. 본론
3. 연구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들의 신종감염병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시기 간호 전공자의 건강신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일본 치위생 교육과정 복수전공
- IPA를 활용한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최종학교 기여도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보건의료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 드론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종자 탐색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거주 선천성기형 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집중이수제로 운영된 간호캡스톤디자인 수업 사례
- 2019 개정 누리과정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
- 보육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측정 도구 개발
- 담배가격 인상에 따른 흡연율 및 금연계획의 변화
- 한의사의 진료분야와 의료 적용분야의 AI 도입과 유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캡사이신 유발 통증 시 VR 중재가 스트레스 해소 및 이완에 미치는 효과
- WiFi MAC을 이용한 병원시설 인원계수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과 학업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수혈요법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행태 요인
-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자격증 취득의향 간의 관계 및 자격증 활용가치 인식의 영향
-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및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 요인
- 장애인복지론 교과목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관한 연구
- 온천욕이 근방추와 인체 균형에 미치는 효과
- 의식적 움직임의 가상현상 자극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 환자의 임플란트 구강건강 기능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 인력확보 여부에 따른 고령환자의 의료이용 특성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코로나백신 접종 영향 요인 및 백신접종에 따른 건강 행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