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26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세루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2, 379~38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G광역시 G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 인식은 모두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온실효과 개념, 기후변화개념, 온실가스 종류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요구되며 과학적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 지구온난화 원인과 기후변화신호에 대해 적절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영향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종합적인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기후변화협약은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기후변화 방지 주체는 국제사회로 인식하고 기후완화노력은 개인에 한정되어 나타났다. 생활 속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실천내용에 있어서 대부분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G University in G Metropolitan City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limate chang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l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was recognized, and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reenhouse effect, concept of climate change, and types of greenhouse gases was required, and scientific knowledge was insufficient. Secon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s, the causes of global warming and the signals of climate change were properly recognize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was high, but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was insufficient. Third, the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knows to some extent how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cognizes the subject of climate change prevention, and climate mitigation efforts are limited to individual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practical contents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in daily life are being practiced well.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limate chang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들의 신종감염병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시기 간호 전공자의 건강신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일본 치위생 교육과정 복수전공
- IPA를 활용한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최종학교 기여도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보건의료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 드론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종자 탐색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거주 선천성기형 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집중이수제로 운영된 간호캡스톤디자인 수업 사례
- 2019 개정 누리과정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
- 보육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측정 도구 개발
- 담배가격 인상에 따른 흡연율 및 금연계획의 변화
- 한의사의 진료분야와 의료 적용분야의 AI 도입과 유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캡사이신 유발 통증 시 VR 중재가 스트레스 해소 및 이완에 미치는 효과
- WiFi MAC을 이용한 병원시설 인원계수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과 학업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수혈요법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행태 요인
-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자격증 취득의향 간의 관계 및 자격증 활용가치 인식의 영향
-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및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 요인
- 장애인복지론 교과목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관한 연구
- 온천욕이 근방추와 인체 균형에 미치는 효과
- 의식적 움직임의 가상현상 자극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 환자의 임플란트 구강건강 기능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 인력확보 여부에 따른 고령환자의 의료이용 특성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코로나백신 접종 영향 요인 및 백신접종에 따른 건강 행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