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으로서의 공공외교와 문화적 영향력
이용수 120
- 영문명
- Public Diplomacy and Soft Power as a New Diplomacy Paradigm: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Implications of Turkey's Cultural Diplomacy with Korea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박수현 이효복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제21권3호, 97~12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세계 각국은 소프트파워를 활용한 문화외교를 공공외교의 핵심축으로 강조하고 있다. 최근 튀르키예 또한 이 같은 흐름에 맞추어 문화외교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튀르키예의 문화외교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분석하고 한국에 지닌 함의를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튀르키예의 소프트파워 강세를 보이는 분야로서 크게 언어·문화 교육 및 학술 교류지원 프로그램, 미식외교 그리고 드라마 콘텐츠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튀르키예의 대(對) 한국 문화외교 전략을 위한 방안으로 튀르키예의 다양한 소프트파워 가치를 활용하는 것과 외교 대상을 더욱 확대하여 지속적인 문화외교 전략을 펼치는 것 그리고 온라인 문화교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Generally speaking, toda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mphasizing cultural diplomacy using soft power as a key pillar of public diplomacy. This is part of a diplomatic strategy to enhance the country's image as a ‘diplomacy that moves the mind’ of the public. Turkey is also actively utilizing cultural diplomacy in line with this tren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tential of Turkey's cultural diplomacy and to look into its implications for Korea. This study analyzed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academic exchange support programs, gastronomic diplomacy, and drama contents as Turkey's soft power promotion areas. Along with this analysis, this study is a plan for Turkey's cultural diplomacy strategy regarding Korea. First, Turkey's various soft power capabilities are utilized. Second, expand the target of diplomacy and implement a continuous cultural diplomacy strategy. Third, it suggests to actively utilize the online cultural exchange platfor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튀르키예 문화외교의 다양한 활용 사례
Ⅳ. 튀르키예의 대(對) 한국 문화외교의 잠재력 및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랍에미리트(UAE) 중추국가 전략
- 더빙 프로젝트를 활용한 아랍어 교육 사례 연구
- 7세기와 8세기 초기의 마와트 토지에 대한 이슬람법의 규정과 적용 사례에 대한 연구
- تحوّل الخطاب السردي في الأدب العربي بعد هزيمة 67: قصّة تحت المظلة أنموذجا
- JCPOA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으로서의 공공외교와 문화적 영향력
-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위기
- 상품공간분석을 이용한 한·UAE·이스라엘 삼각 경제협력 유망분야 연구
- 이란 영화 대본 분석을 통한 ‘rā’의 활용과 교육 연구
-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의 탄소중립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