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더빙 프로젝트를 활용한 아랍어 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A Case Study of Arabic Language Education Using Dubbing Project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조정민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제21권3호, 233~2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더빙 프로젝트를 활용한 아랍어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비대면 시대의 새로운 아랍어 학습 도구로서 더빙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초·중급 단계에 있는 아랍어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5주간 더빙 프로젝트를 시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더빙의 장점으로 제시된 키워드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더빙의 언어적, 정의적 효과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89.9%의 응답자가 더빙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언어적 효과가 있었다고 답하였고, 86.3%의 응답자가 더빙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정의적 효과가 있었다고 답하였다. 끝으로95.5%의 응답자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아랍어 학습 도구로서의 더빙의 활용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dubbing as a new Arabic learning tool in the non-face-to-face era by analyzing cases of Arabic education using dubbing projects. This researcher conducted a 5-week dubbing project targeting 24 Arabic learners at the beginner-intermediate level. In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aware of the linguistic and affective effects of the dubbing project through the keywords presented as advantages of the dubbing project. In addition, 89.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dubbing project had linguistic effects, and 86.3%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dubbing project had affective effects. Finally, it finds that 95.5% of respondents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using dubbing as a new Arabic language learning tool in the post-COVID-19 er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랍에미리트(UAE) 중추국가 전략
- 더빙 프로젝트를 활용한 아랍어 교육 사례 연구
- 7세기와 8세기 초기의 마와트 토지에 대한 이슬람법의 규정과 적용 사례에 대한 연구
- تحوّل الخطاب السردي في الأدب العربي بعد هزيمة 67: قصّة تحت المظلة أنموذجا
- JCPOA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으로서의 공공외교와 문화적 영향력
-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위기
- 상품공간분석을 이용한 한·UAE·이스라엘 삼각 경제협력 유망분야 연구
- 이란 영화 대본 분석을 통한 ‘rā’의 활용과 교육 연구
-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의 탄소중립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