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육과 문화』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37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ducation and Cultur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창의인성학회
저자명
김병만(Kim, Byung-Man) 이강훈(Lee, Kang-Hoon) 윤정진(Youn, Jeong-Jin)
간행물 정보
『교육과 문화』제4권 제2호,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5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출판시기, 연구대상, 학문분야, 연구유형,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1-mode 데이터셋을 작성하고, 전체 및 연도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별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학문분야별로는 교육학이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별로는 실천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1기는 ‘다학문적 발현기’, 2기는 ‘다문화교육 및 보육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기’, 3기는 ‘대학 교양교육의 다양화 및 유아교육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기’, 4기는 ‘대학교육 및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 확장기’, 5기는 ‘빅데이터 연구 태동기’로 1기에서 5기로 연구의 흐름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성파 시기별 연구동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교육과 문화』 학술지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Education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is. For this purpos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25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Education and Culture』 from 2019 to 2021.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overall research tre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academic field, research type, and research method. In addition, a 1-mode dataset was created based on the data that had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cleansing proces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whole and each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y to study subjec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on teacher, and by academic field, pedagogy was the most common. By research type, practical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and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 and Culture』, the first period was ‘a period of multidisciplinary development’, the second period was ‘a period of setting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ildcare policies’ , the third period was ‘a period of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e fourth period was ·a period of expanding interest in university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fifth period was ‘a period of beginning of big data research’, which indicates that the flow of research changes from the 1st to the 3rd st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overall trend and research trend by period of the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 and Culture』, but als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and Culture』 journ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만(Kim, Byung-Man),이강훈(Lee, Kang-Hoon),윤정진(Youn, Jeong-Jin). (2022).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육과 문화』 연구동향 분석. 교육과 문화, 4 (2), 1-38

MLA

김병만(Kim, Byung-Man),이강훈(Lee, Kang-Hoon),윤정진(Youn, Jeong-Jin).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육과 문화』 연구동향 분석." 교육과 문화, 4.2(2022):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