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연구조사를 통해 본 기부의 개념과 측정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Giving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자원봉사학회
- 저자명
- 장윤주 이영주 정민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제3호, 29~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연구된 기부의 정의와 측정방법을 검토하여 향후 국내 기부지수 측정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부 정의와 측정에서의 이슈를 다룬 문헌을 검토하고, 국내에서 생산된 기부 데이터셋 중 기빙코리아, 재정패널, 사회조사 문항을, 그리고 해외 데이터셋 중에서는 미국, 일본, 네덜란드를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기부행동 측정 시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국내 기부의 정의는 미국에서 정립된 개념인 ‘필란트로피’를 준용하여 쓰이기는 하나 서양과 차별화되는 기부 개념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기부 데이터셋이 개발되었지만 기부를 측정하는 문항이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검토되어 개발되지는 못했다. 셋째, 소셜미디어와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에 측정되지 못했던 기부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시계열 분석을 위해 문항 변경에 유의해야 하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기부와 관련된 항목 정리와 질문하는 방식이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measurement method of donations studi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present which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the domestic donation index in the future. Accordingly, documents dealing with issues in donation definition and measurement were reviewed, and Giving Korea, Financial Pannel, and Social Survey ques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domestic donation datasets and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Netherlands among overseas datasets. As a result, the points to consider when measuring Korea's donation behavior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domestic donation is us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philanthropy,’ which is established in the United States, differentiated concensus on the concept of donation from the West is necessary. Second, various donation datasets were developed, but questions on measuring donations were not fully reviewed through theories or previous research. Third, du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and technology, it should consider giving vehicles that have not been measured before. Fourth, for time-series analysis, it needs to pay attention to item changes, and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tems related to the donation mentioned above and the way of asking question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