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음주수준 및 태도가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4
- 영문명
- Effect of parental drinking level and attitude on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s of drinking environmental exposure and peer drinking level and attitude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가영 송인한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논집』제53권 제2호, 91~1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로 대학생의 문제음주는 알코올 중독, 간질환 등 개인적 폐해뿐만 아니라 음주운전, 사망, 폭력 등 다양한 사회적 폐해도 야기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문제음주를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라 부모음주수준 및 태도가 대학생 문제음주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관계에서 미시적 요인인 또래음주와 거시적 요인인 음주조장환경의 다중가산조절효과를 통해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6월 전국 17개 시 도 대학생 및 휴학생 2,9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최근 1년 이내 음주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2,553명의 자료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부모음주수준 및 태도, 또래음주수준 및 태도는 AUDIT-K와 음주규범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음주조장환경 노출은 최근 1년간 주류광고와 미디어 음주장면 노출 수준을 측정하였다. 대학생 문제음주는 K-RAPI로 측정하였으며, SPSS 27.0과 Process macro model 2를 활용하여 다중가산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음주수준 및 태도는 대학생 문제음주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며, 또래음주수준 및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음주조장환경 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음주수준 및 태도와 대학생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강도가 증가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문제음주 예방을 위해 미시적 체계인 부모와 또래를 대상으로 한 교육, 인식개선 캠페인과 거시적 체계인 주류광고, 음주장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환경적, 제도적 차원의 개입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al drinking level and attitude on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In addition, the interaction was verified through the multiple addictive moderation effect of drinking environmental exposure and peer drinking level and attitude. 2,900 college students aged over 20 years were recruited for online survey and the size of the final sample analyzed was 2,553.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hypothesis testing using SPSS 27.0 and SPSS Process macro 4.0.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Model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frequency and amount of drinking wer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but the problem drinking experienc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Second, parent drinking level and attitude, drinking environmental exposure, and peer drinking level and attitude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positive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The more parental drinking level and attitude, drinking environmental exposure, and peer drinking level and attitude, the higher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Second, drinking environmental exposure and peer drinking level and attitude appear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rinking level and attitude and problem drinking. Third, both drinking environmental exposure and peer drinking level and attitud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drinking level and attitude and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which showed that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s were supporte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both individual level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level strategies should be combined to prevent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