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9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lace Brand Complexity,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Place Commitment, and Word of Mouth: A Sampl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한승훈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5권 제5호, 101~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관광 장소 브랜딩을 추진하고 있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주민을 잠재적 관광 마케터로 활발히 참여시키는데 유용한 방향과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장소 브랜딩을 사회적 기능의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에서 시작되었고, 지역주민을 고려할 때 장소 브랜드는 복잡성을 가져야 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이며, 2019년 8월 한 달 동안 수집한 총 310부의 조사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은 구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소 브랜드의 복잡성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가 관광 마케팅의 일환으로 장소 브랜드 정책을 수립할 때 지역주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향을 실무적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various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which are their destinations as attractive brands. In particular, in order to emphasize the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br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lace brand complexity,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intentional for spreading the word of mouth were examined. This study approached the place branding from a social function perspective, and it is also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onsiders place branding as a complex phenomena when considering local residents. A total of 310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19, was used for empiric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to analyze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E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ce brand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d of mouth. These results solid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the level of place brand complexity should be manag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t provides useful directions in practice to actively engage residents when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place brand policy as part of tourism market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승훈. (2021).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학연구, 45 (5), 101-119

MLA

한승훈.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학연구, 45.5(2021): 101-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