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8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lace Brand Complexity,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Place Commitment, and Word of Mouth: A Sampl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한승훈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5권 제5호, 101~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관광 장소 브랜딩을 추진하고 있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주민을 잠재적 관광 마케터로 활발히 참여시키는데 유용한 방향과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장소 브랜딩을 사회적 기능의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에서 시작되었고, 지역주민을 고려할 때 장소 브랜드는 복잡성을 가져야 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이며, 2019년 8월 한 달 동안 수집한 총 310부의 조사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은 구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소 브랜드의 복잡성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가 관광 마케팅의 일환으로 장소 브랜드 정책을 수립할 때 지역주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향을 실무적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various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which are their destinations as attractive brands. In particular, in order to emphasize the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br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lace brand complexity,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intentional for spreading the word of mouth were examined. This study approached the place branding from a social function perspective, and it is also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onsiders place branding as a complex phenomena when considering local residents. A total of 310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19, was used for empiric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to analyze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E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ce brand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d of mouth. These results solid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the level of place brand complexity should be manag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t provides useful directions in practice to actively engage residents when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place brand policy as part of tourism market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관광도시의 AR 만족도와 지불의사 향상을 위한 AR 경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기반 여행은 사람들의 여행행복을 증진시키는가?
- 근거이론에 기반한 팬데믹시대 잠재관광자의 관광행동 변화 경험 연구
-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기법을 통한 지역관광계획 수립 실태와 구조 분석
-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 수용자 관여가 자아일치성 및 관광목적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매춘관광 의도 연구
- 복합리조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이 브랜드 신뢰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