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거이론에 기반한 팬데믹시대 잠재관광자의 관광행동 변화 경험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Experiences of potential tourists’ tourism behavior chan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grounded theor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진희 김남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5권 제5호,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관광산업은 팬데믹을 겪으면서 전환점에 마주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팬데믹시대 잠재관광자의 관광행동 변화 경험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심층인터뷰는 2020년 해외여행을 계획하였으나 취소되어 향후 여행을 계획하는 내국인 관광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14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Vivo 12를 활용해 관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43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팬데믹 발생’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사회적 거리 두기’와 ‘여행경보’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제한된 관광활동’으로 밝혀졌다. 중재적 조건으로는 ‘관광 노스탤지어’, ‘관광 욕구’ 그리고 ‘위험지각’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관광 대처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관광행태 변화’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팬데믹에서 관광자의 대처행동에 따른 관광행태 변화’로 나타났다. 이는 팬데믹 상황에서 잠재관광자의 심리적 기제와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관련한 개념을 도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팬데믹에서 잠재관광자의 관광행동 변화와 관련한 새로운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질병 자체보다 관광자의 심리적 기제가 행동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미비하게 이루어진 팬데믹시대 잠재관광자의 인지, 행동과 반응 등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연구범위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행동의 동인으로 작용하는 개인의 욕구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관광행태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팬데믹시대의 성공적인 관광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tourism industry faced a turning poi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examined potential tourists' behavior change during the pandemic. In-depth interviews with 14 potential tourists who planned to travel abroad in 2020 but delayed their plan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NVivo 12. Coding of the interview data resulted in 143 concepts and 31 sub-categories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To be specific, the causal condition was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Th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social distancing” and “travel alert.” The phenomenon was “limited tourist activity.”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ourism nostalgia”, “need for tourism”, and “perceived risk.” The actions/interactions included “tourism response behavior in the pandemic.” The consequence was “changes in tourism behavior.”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change in tourism behavior according to tourist responses in the pandemic.” The results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behaviors of potential tourists in the pandemic. Moreover, new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the tourism behavior of potential tourists. The study confirms recent research findings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tourists are an even greater influence than the pandemic itself. This study contribute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s, attitudes, behaviors, and reactions of potential tourists in the pandemic situation, which was previously insufficiently explo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관광도시의 AR 만족도와 지불의사 향상을 위한 AR 경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기반 여행은 사람들의 여행행복을 증진시키는가?
- 근거이론에 기반한 팬데믹시대 잠재관광자의 관광행동 변화 경험 연구
-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기법을 통한 지역관광계획 수립 실태와 구조 분석
-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 수용자 관여가 자아일치성 및 관광목적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매춘관광 의도 연구
- 복합리조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이 브랜드 신뢰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