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행경력이 여행자 태도와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1
- 영문명
- Effects of Travel Careers on Travelers’ Attitudes and Psychological Cap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고동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2권 제7호, 233~2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행경력 개념의 실제적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것의 심리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여행경력을 경력의 폭(여행횟수와 방문국가 수), 경력의 깊이(여행지속성), 그리고 여행자의 주관적 평가(스스로 지각하는 여행경력 수준) 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각각을 여행경력 지수로 활용하여 준거변수의 결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준거변수로서 여행자아관여, 진지성 여행경험, 긍정여행심리자본 및 삶의 만족도 등을 고려하였다. 390명을 표본으로 한 조사 자료의 분석결과는 여행경력이 누적될수록 4가지 준거변수의 지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경력의 객관적 지수인 경력의 폭과 경력의 깊이가 준거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한계효용체감의 양상을 따르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여행경력의 주관적 수준과 준거변수의 지수는 다소 복잡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행경력의 개념이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고, 경험적으로 지수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여행경력의 개념은 실제적으로도 활용가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ravel careers to identif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The indexes of travel careers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levels: depth, width, subjective career, and an integrated category. There were four dependent criteria variables: ego involvement of travel, seriousness in travel exper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travel,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rom 390 Korean samples showed that the travel career on the different index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ur dependent variables. These results imply that accumulated travel experience might contribute to enhancing travelers’ attitudes and psychological capability for travel and quality of life.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points for conceptualizing and measurement of travel careers a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냐 마사이마라 국립 보호구의 사파리 관광에서 드러나는 현대관광의 특성
-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장소애착이 지각된 적합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도시민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연기반 치유회복환경의 회복경험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 개별화 서비스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
- 호텔의 사내 교육훈련과 학습조직문화가 프론트 오피스 종사자의 혁신적 정보시스템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학습의 매개효과 분석
- 항공상품 모바일 커머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해양관광목적지의 방문가치가 방문객의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여행 구전 커뮤니케이션에서 구전의 발생 과정에 관한 연구
- 여행 동반자 간 갈등유발요인에 따른 갈등관계 연구
- 웰니스관광 개념모형 개발
- 카지노 종사원의 직무소진과 고객지향성, 근접감시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여행경력이 여행자 태도와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