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 및 심리적 외상 실태연구
이용수 327
- 영문명
- Survey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nd Psychological Trauma of Performing Manpower: Focused o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Busan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박현숙 김은아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8권 3호, 211~25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 경험 및 심리적 외상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현장출동 인력의 업무수행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 경험이 있는 현장출동요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을 위한 준비 과정이부족한 상태에서 현장출동에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요원이 경험한 어려움 중 현장출동 관련 유관기관 담당자와의 업무 소통 및 관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요원의 정신건강은 심리적 외상의 차원에서 위험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요원을 위한지원에 대해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응급 대응체계 및 현장출동 인력 지원과 개선 방향에 대한 제안점은 다음과같다. 첫째,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조사가 체계적·정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을 위한 교육과 훈련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요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개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추후 현장출동요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와 훈련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tuation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nd psychological trauma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Busan, and to establish of support plan for performing manpower. To this end, a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rforming manpower who are working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Busan and have experience in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was insufficient, and they were put into the filed. Second, amo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performing manpower,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personnel related operations. Third, the mental health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performing manpower appeared to be at a risk level in terms of psychological trauma. Finally, the demand for support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performing manpower was found to be high.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nt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performing manpower are support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regularly conduct a detailed survey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econd, 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hould be prepared. Third, an intervention plan for the mental health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performing manpower should be sought. To this e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field personnel and follow-up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nd education courses a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