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 문화번역 수업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육방안 모색
이용수 338
- 영문명
- Using Machine Translation to translate Culture-Specific Items in Undergraduate Translation Clas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저자명
- 홍승연 윤미선 최은경
- 간행물 정보
- 『영미연구』제56집, 189~2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번역 교육은 언어적 차원만이 아니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증진 등 문화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 번역교육이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탐구하고자 영미권에서 출판된 문화텍스트, 소설 『파친코』를 문화번역 실습과정에 적용하고 기계번역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였다. 『파친코』는 한국계 미국 작가 이민진이 2017년 미국에서 출간한 작품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인 1980년대까지 4대에 걸친 재일교포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설 속에는 한국 문화와 관련된 요소들이 다수 포함되어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요소는 기계번역 결과 적절하게 표현되지 않았고 오류도 많았다. 학생들은 실습 과정에서 파친코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보고 원문 속 문화적 요소는 무엇이며, 그 문화적 요소를 도착문화권에 맞게 어떻게 번역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논의를 이어갔다. 연구결과 문화번역 수업에서 학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및 문화특정항목에 대한 개념정리가 더욱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텍스트 상에 명시적으로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맥락상 문화적 요소로 판단되는 지점을 학생들이 충분히 논할 수 있도록 원문 텍스트에 대한 선행학습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문화텍스트 속에 숨겨진 문화적 암시정보를 찾아내어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번역교육 과정에서 기계번역을 학습도구로 적용하고 문화텍스트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활용하면 번역에 대한 학생들의 사유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ndergraduate translation course should incorporate more training in cultural aspects. The English novel, Pachinko, was used as a translation practice text in the cultural translation class, and machine translation (MT) was applied as a learning instrument. Pachinko wa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by Korean American author Min Jin Lee, and tells the story of four generations of Korean-Japanese family memb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80s after liberation. The novel includes a large number of culture-specific items (CSI) related to Korea, as a result the machine-translated text has many errors. The students discuss what types of CSI are found in the source text (ST), and learn how to better translate these cultural elements in Pachinko's MT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ree effective methods to educate undergraduate students in cultural translation class. First, the concept of culture and CSI should be more clearly taught. Second, the source text (ST) must be thoroughly explained in order that students can discuss the cultural elements that are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text. Thir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find implied contextual information in cultural text. This study has shown that MT can be used as a learning instrument to expand students' thoughts on translation.
목차
1. 들어가는 글
2. 학부 번역수업에서 문화텍스트 기계번역의 활용 필요성
3. 기계번역을 활용한 연구방법 및 분석 텍스트
4. 『파친코』의 기계번역 결과 논의 분석
5. 학부 문화번역 수업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육방안 제언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