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탄소 배출에 따른 제조업 집적의 비선형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71
- 영문명
- Study on the Nonlinear Effect of Manufacturing Agglomeration by Carbon Emissions : Application of Semi-parametric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오진 김현중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37卷 第3號, 185~20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반모수 공간 자기회귀 모형(Semi-parametric spatial autoregressive model)을 활용하여 제조업 집적이 탄소 배출에 미치는 비선형적인 영향을 고찰한다. 제조업 집적 형태 별로 탄소 배출 감축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문화 집적이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은 N자형 구조로 나타났다. 전문화 집적 초기에는 탄소 배출을 촉진하고 집적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탄소 배출을 촉진하는 작용이 약화되어 점차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 배출에 미치는 제조업 다양화 집적의 영향은 뚜렷한 역U자형 구조로 나타났다. 다양화 집적 초기에는 탄소 배출을 강력하게 증가시켰고, 집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차적으로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작용이 나타났다. 제조업의 다양화 집적이 전문화 집적보다 탄소 배출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규모가 크고 비교적 성숙한 제조업 전문화 집적 지역은 생산규모의 확대와 탄소 배출 간의 관계를 유의해야 한다. 기술진보의 친환경 효과는 생산규모 확대에 따라 약화될 수 있다. 제조업의 다양화 집적 초기에는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데 유의해야 한다. 집적 지역을 다양화하는 가운데 공단 내 공용 인프라를 정비해 기존 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다양한 연관 산업들의 기능을 유지하며 에너지 효율을 제고하고 공정개선을 통해 탄소 집약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정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non-linear effect of manufacturing clusters on carbon emissions using the semi-parametric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calculated the manufacturing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agglomeration index according to the region in Korea for 17 regions and 25 manufacturing fields in Korea from 2013 to 2019. Considering the impact of manufacturing agglomeration on carbon emissions, the non-linear effect of manufacturing agglomeration on carbon emissions was examined using a semi-parametric model for the effect of manufacturing agglomeration on carbon emission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patial fluidity of carbon emissions and policy imitation of neighboring regions, this study constructed a semi-parametric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considering the spatial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Results : An analysis of the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luster type showed that, the effect of a specialized cluster on carbon emission was an N-shaped structure. In the early stages of specialization integration, the action of promoting carbon emission is weakened as the level of integration increases and gradually suppresses carbon emission. The effect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on carbon emissions was found to be a distinct inverted U-shaped structure. In the early stages of diversification and integration, carbon emissions increased strongly, and carbon emissions were gradually suppressed as the level of integration increased, Diversification agglomer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d a greater effect on suppressing carbon emissions than specialization agglomeration. Conclusions :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ansion of production scale and carbon emission in large and relatively mature manufacturing specialization clusters. The expansion of the production scale mat weaken the eco friendly effect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early stages of diversification and agglomer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ing resource use efficiency 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While diversifying the agglomeration area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rational use of existing resources by improving public infrastructure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Comprehensively, policies should be set to maintain the functions of various related industries,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and lower carbon intensity through process impr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및 한․중․일 자동차 수출 현황
Ⅲ. 아세안 주요국에 대한 시장점유율과 불변시장 점율율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탄소 배출에 따른 제조업 집적의 비선형 영향에 관한 연구
- 보증신용장거래에서 발행은행의 서류심사 기준과 지급의무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에 따른 지역 항공물동량 추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프레이트 포워더의 화주 선정요인에 대한 중요성과 만족도(ISA)와 그룹간 비교 분석 연구
- 해상운송과 내수운송의 적용범위에 관한 고찰
- WTO체제하에서 강력한 지식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연구
- 재현생산권에 관한 관세법의 한계성과 개선방안
- SDoC와 상호호혜인정 확산을 통한 한국 적합성 평가 경쟁력 구축 전략
- 아세안 주요국에 대한 한․중․일 자동차 산업의 CMS를 통한 수출변동분석에 관한 연구
- 국제항공운송에 관한 EU사법재판소의 인적관할과 EU법의 역외적용
- 물류기업의 종업원에 대한 경제적 보상과 기업성과의 관계
- 컨벤션 종사원이 지각한 상사의 비인격적인 감독행위가 직무소진과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무역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Impact of Power Attributes on Supply Chain Sustainability
- The Impac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o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Evidence from Chinese fir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