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liot’s Use of Animal Imagery
이용수 0
- 영문명
- Eliot’s Use of Animal Imagery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이한묵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21권 제1호, 163~1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rom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to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he often used such animal imagery as cats, possum, and other animals in his poems. Eliot was haunted by animal images in that he expressed his inner self through animal imagery. In particular, he frequently used reserved animals to show his true self. In his poems, Eliot articulated significance of such animals as possum, cat, rat, and rabbit because these animals hide their inner nature in their minds. In addition, animals react intuitional response as shown in possum and rats, animals are the perfect imagery to manipulate human mind. Therefore, Eliot used animal imagery to manifest human archetypal minds. In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Eliot connotes the imagery of a cat. In “Gerontion,” he called Christ the tiger because he was frighted by Christ as the absolute judge. In The Waste Land, the death that rats create is not a death which brings resurrection and new life like Jesus Christ, but brings about no life at all in the waste land. Especially, Eliot called himself “possum” in his letters to Pound. Even in his unpublished poem, “Cow,” the cow shows his panic emotion from his first marriage. Therefore, Eliot’s use of animal imagery makes significant roles to understand one of his major themes.
목차
Works Cited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at shall I cry?’ : Four Quartets and Language in a Fallen World
- T. S. 엘리엇과 하버드 대학교
- ‘초드라마틱’(ultra-dramatic) 패턴: T. S. 엘리엇 시 「머리나」
- T. S. 이은실엘리엇의 「황무지」와 김기림의 「기상도」
- 엘리엇의 객관적 상관물과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 Eliot’s Use of Animal Imagery
- An Apology for a Jungian Reading of T. S. Eliot
- 기독교 신비주의의 두 흐름과 T. S. 엘리엇의 존 던에 대한 재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