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난 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이용수 84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Disaster Safety Consciousnes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김상용(Kim, Sangyong)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6권 제3호, 73~9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재난 안전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로부터발달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총 7,025명 중 본 연구에 적합한 발달장애인 3,820명을 선정하여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와 재난 안전은 성별, 연령, 주관적 소득계층, 최종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생활만족도는 연령, 주관적 소득계층, 최종학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난 안전 인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있으며 주관적 소득계층은 상층보다 하층이 더 소득이 높다고 인식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재난 안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정도와 재난 안전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을수록, 재난 안전 인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력은 재난 안전 인식이 장애정도보다생활만족도에 좀 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는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난 안전 인식이 매개변인으로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재난 안전 상황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생활만족도가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2020 “A Survey on the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 identified 7025 development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lected 3820 from this sample, which was used in our study.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 foun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disaster safety across gender, age, self-reported income percentiles, and education. Meanwhile,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was only found in age, reported income percentiles, and education. We also found that men and those between the ages of 30 and 40 were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view of disaster safety. While those that were self-reported to be part of the upper-income percentile have a more positive view of disaster safety. Meanwhile, the level of edu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aster safety. Secondly, we found that the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at is, a lower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uggeste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us, both the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disaster safety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We also found that the low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aster safety and that disaster safe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Meanwhile, the relative effect of disaster safety on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Thirdly, we found that the level of developmental disability has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at disaster safety mediates its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t is, those that were reported to have high disaster safety tend t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Our findings provided a few implications regarding the disaster safety of persons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용(Kim, Sangyong). (2022).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난 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재활복지, 26 (3), 73-99

MLA

김상용(Kim, Sangyong).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난 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재활복지, 26.3(2022): 73-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