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상지재활을 위한 음악중재 연구 내 악기연주 유형 및 악기 활용 분석
이용수 277
- 영문명
- A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Involving Instrument Playing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박찬미(Chan Mi Park) 김소연(So Yeon Kim) 김수지(Soo Ji Kim)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6권 제3호, 25~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상지재활을 위한 음악중재연구의 전반적인 연구 특징과 악기연주 유형 및 악기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악기의 치료적 적용에 대한 학술적 현황과 추후 임상적 적용점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및 국외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21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과 중재에 활용된 악기연주 활동의 기법 기술에 차이가 있으나 악기 연주활동의 내용과 악기 종류에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국내의 음악중재 연구는 주로 음악치료분야에서실행된 반면, 국외의 연구는 주로 의학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며, 분야 간 비교를 통해 동일한 신경학적원리에 기반한 악기연주방법이 실제 적용상에서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거나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는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팀협력에 기반한 재활접근에서 다학제간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치료원리에 기반한 악기연주가 임상현장에서 활발히 적용될 수있는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s i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wenty-on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and the playing technique used. However, the activities for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employed shared a number of general characteristics. Music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were conducted mainly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while music intervention studies in other countries were conducted mainly in the medical field. Outcomes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functional goals of the instrument playing involved gross motor or fine motor movemen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instrument playing and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s in music intervention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