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온라인/오프라인 코딩 캠프 연구
이용수 89
- 영문명
- A study of coding camp based on gamification- on the case of running a coding puzzle game camp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김나영(Na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5권 3호, 23~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소프트웨어(SW)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SW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플랫폼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SW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교재와 수업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방과후 학교, 협동 혹은 실습수업, 캠프운영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학습캠프는 집중도 높은 수업, 타 학습자와의 원활한 교류, 지도 교사의 빠른 피드백 등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수업 플랫폼이다. 이 같은 추세에 발 맞추어 로봇체험캠프, 앱개발 캠프 등 다양한 캠프들도 등장하고 있다. 특히, 게임제작 캠프는 SW교육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동기부여를 높여주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게임전공 연구자들 중심으로 기획 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온라인, 오프라인 코딩 캠프 운영을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캠프의 재미와 만족도를 비교하고, 각 장단점을 확인하여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SW교육 캠프 콘텐츠 제작 및 프로그램 운영 시 고려 할 점들을 고찰 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실제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각각의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방안을 검토 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importance of software (SW) education has recently emerged, a variety of policies and platforms for SW education have been announced. In particular, there is a limit to only textbooks and classes, so various attempts such as gamification, team teaching, and camp learning class are essential for efficient SW education. Among them, the learning camp is a class platform that has lots of advantages due to classes with high concentration, smooth exchanges with other learners, and quick feedback from instructors. In line with this trend, various camps such as robot experience camps and app development camps are also appearing. In particular, the game production camp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raises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students who are new to SW education. In this study, the fun and satisfaction of camps of each platform were compar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learning the gamification-based online and offline coding camps designed by game major researchers using a gamified coding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although offline camp is more positive than online camp in terms of fun and satisfaction, continuous learning is difficult due to time, space,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 camp as an alternative to this also had problems with learners giving up and leaving learning. Lastly, we discussed how to supplemen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and offline programs through the operation of both online and offline programs.
목차
1. Introduction
2. Body
3.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2호 목차
- A Study on Dataset Development and Model Vulnerability to Backdoors
- Ransomware Detection Using Deep Q-Network and L2PGD Attack Analysis on a Custom Datas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