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書畫 同體·同出·同源論 形成의 哲學的 背景

이용수 34

영문명
Philosophical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the Theories of SeoHwaDongChe, SeoHwaDongChul and SeoHwaDongWon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은아(Kim, Eun-a)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1호, 159~1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화동체(書畵同體), 서화동출(書畵同出), 서화동원(書畵同源)에 관한 사유를 당·송·원 시기에 전개됐던 서화미학의 흐름에 나타난 서와 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서화의 관계가 동체에서 동출로, 동출에서 다시 동원으로 변화하는 과정에는 서화의 기원이 무엇인지에 대한 미학적 질문이 담겨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질문에는 서화 창작에 임했던 문인사대부들의 예술정신과 미학적 지향점이 담겨있다. 회화에 서예의 용필 및 필의(筆意)를 담아 표현했을 때, 문인사대부들이 지향하는 예술세계를 제대로 체현해낼 수 있다는 사유가 담겨있다. 그것은 서화 창작의 근원이 되는 일획의 운용과 연관된 철학적 사유의 동일성이 담겨있다. 이런 점에서 서화의 동체, 동출, 동원 및 동법 사유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예란 어떤 예술인가라는 하는 점에 대한 미학·철학적 차원의 분석이 요구된다. 중국서화사에서 하나의 작품이 창작되는 것은 하나의 획을 긋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석도의 일획론(一劃論)을 통한 서화의 상통성 및 서화효능일체설(書畫效能一切說)은 실제 예술창작에서 화가라면 서예에 대한 원리를 반드시 익혀 창작에 임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서 서예와 회화의 관계성을 따지면, 바람직한 회화창작은 서예의 필획을 운용한 회화 형상을 창작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서화의 동체, 동출, 동원 및 동법 사유에는 기본적으로 서화 창작의 근원이 되는 일획의 운용과 연관된 철학적 사유의 동일성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예는 형이상학적 측면에서 도(道)의 원리를 체득하고, 그 도를 서예의 근간으로 하는 취도설(取道說) 차원의 예술정신이 담겨있다. 취도설에 의한 서예 형상은 관물취상론(觀物取象論) 사유와 관련이 있으며, 관물취상의 결과물로 나타난 자형 및 자체에 대한 회화적 차원의 의미 부여는 회화가 서예의 필법과 필의를 취해야 하는 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이런 점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서예와 회화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일획론(一劃論)과 서화효능일체설(書畫效能一切說), 취도설(取道說)과 형이상학적 서예인식, 관물취상론(觀物取象論)과 자체(字體) 상형의 회화성이란 관점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thoughts of SeoHwaDongChe (書畵同體: Calligraphy and drawing are same as each other), SeoHwaDongChul (書畵同出: Calligraphy and drawing are beginning together) and SeoHwaDongWon (書畵同源: Calligraphy and drawing sprout from same root)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o (Calligraphy) and Hwa (Painting) that appeared on the stream of the aesthetics of Seo and Hwa flowing through such eras as Tang, Song and Yuan dynasties in China.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relation between Seo and Hwa from DongChe to DongChul that finally went to DongWon embraces such art-philosophical leveled question as ‘Where did Seo and Hwa come from’, which shows the art spirit and aesthetic goal of the literary noblemen who approached the creation of Seo and Hwa. Such thoughts also contain the idea that painting works must be expressed with YongPil (用筆: ways of brushing) and PilEui (筆意: intention of brushing) of calligraphy in order to fully realize the art world sought for by the literary noblemen. First of all, in this aspect, it is required to analyze what kind of art calligraphy is in aesthetic and philosophical viewpoints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houghts of DongChe, DongChul, DongWon and DongBeop (書畵: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same in rules of creating works). In the Chinese history of SeoHwa (Calligraphy and Painting), creation of every piece of work begins from drawing a stroke. The commonness between Seo and Hwa and SeoHwaHyoNeungIlCheSeol (書畫效能一體說: the theory that Seo and Hwa have same effect) argued by Shí Tāo (石濤) based on his IlHoikRon (一劃論: the theory of one stroke) emphasized that every painter must learn the calligraphic principle for actual art creation activity.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with consideration of such emphasis, it is desirable to create painting pieces using PilHoik (brush and stroke) of calligraphy. That is, the thoughts of DongChe, DongChul, DongWon and DongBeop are thought to be as same as the philosophical thoughts related with use of one stroke. In the tendency of art creation, calligraphy has CheeDoSeol (取道說: the theory of taking truth) leveled art spirit with which the artist must take the principle of truth in metaphysical aspect and set such truth as the base of calligraphy. Such CheeDoSeol based calligraphic forms are related with the thought of GwanMulCheeSangRon (觀物取象論: the theory of taking forms by viewing things), which causes artists to give painting leveled meaning to the character forms and fonts simply showing why painting must take PilBeop (rules of brushing) and PilEui of calligraphy. In such aspects set forth above, therefore, this article looks into how the theories of Seo and Hwa have been established and transited in 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Chinese history of Seo and Hwa in the viewpoints of IlHoikRon, SeoHwaHyoNeungIlCheSeol, CheeDoSeol, metaphysical perception of calligraphy, GwanMulCheeSangRon and painting styled character fonts and forms.

목차

Ⅰ. 序論
Ⅱ. 一劃論과 書畫效能一體說
Ⅲ. 取道說과 형이상학 차원의 서예인식
Ⅳ. 觀物取象說과 字體 象形의 회화성
Ⅴ.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아(Kim, Eun-a). (2022).書畫 同體·同出·同源論 形成의 哲學的 背景. 서예학연구, (), 159-180

MLA

김은아(Kim, Eun-a). "書畫 同體·同出·同源論 形成의 哲學的 背景." 서예학연구, (2022): 159-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