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연구

이용수 135

영문명
A Study on the Hangeul Geumseokmun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한소윤(Han, So-you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1호, 109~13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 소재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으로는 1536년 제작되어 서울에 위치한 <이윤탁 한글 영비>, 1686년 제작된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인흥군 묘역의 <인흥군 묘산비>, 정조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경북 문경의 <조령 ‘산불됴심’ 표석>, 제작 시기가 1796년과 1916년 두 가지 설이 있는 경남 진주 <의곡사 한글 비>, 1879년에 제작된 경남 거창의 김계진 부사 불망비의 뒷면인 <거창 한글 철비>가 있다. 이 비문 5개는 16~19세기의 것으로 한글사료가 희귀한 상황에서 조선시대의 역사·사회·문화·예술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의 서체는 한글 비문이 출현했던 각 16세기~19세기에 상용했던 유행서체와 유사한 서풍이 나타난다. 즉, 훈민정음해례본체, 훈민정음언해본체, 민체의 다양한 서체를 한글 금석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은 한글서예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사료가 되며 동시에 서예학적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들은 그 소재와 수량만으로도 희소성과 특수성을 지닌 사료로서 문화재적 가치가 충분하다. 금석문의 내용을 통해 당시 조선시대 생활상을 잘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한글 문장에 나타난 어휘를 통해 국어학적으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이 비문들이 건립된 배경과 목적을 통해 당시 조선시대 사회상과 연결짓는 중요한 매개가 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Among the golden stone gates of the Joseon Dynasty made in Korea, Lee Yun-tak Hangeul Monument in Seoul was produced in 1536, the Hangeul Tombstone in Inheung-gun Cemetery in Pocheon-si, Gyeonggi-do was produced in 1686, and Joryung 'Wildfire Dawn Sim in Mungyeong, Gyeongsangbuk-do,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re is a stone monument, the Hangeul Monument of Uigoksa Temple in Jinju, Gyeongnam, which has two theories of production date in 1796 and 1916, and the Geochang Hangeul Iron Monument, which was produced in 1879 and is the backside of the Bulmangbi by Kim Gye-jin of Geochang, Gyeongsangnam-do. These five inscriptions are from the 16th to 19th centuries, and are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that allow you to examine the history, society, culture, and art of the Joseon Dynasty in a situation where historical documents in Hangeul are rare. In the Joseon Dynasty, the font style of Hangeul Geumseokmun is similar to the popular font used in the 16th,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respectively, when Hangeul inscriptions appeared. In other words, various fonts of Haerye, Eonhae, and Minche can be found in the Hangeul Geumseokmun. Through this, the golden stone inscriptions of Hangeul in the Joseon Dynasty become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hat cannot be missed in the history of Hangeul calligraphy, and at the same time have an important calligraphic value. In the Joseon Dynasty, Hangeul gold stone inscriptions have sufficient cultural value as historical materials with rarity and specificity only in their material and quantity. Through the contents of Geumseokmun, it was possible to know the language life of the Joseon Dynasty well, and in particular, it has an important historical value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vocabulary shown in the Hangeul sentences. Also, throug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ir construction, it can be seen that these inscriptions become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with the social image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현황
Ⅲ.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서체 분석
Ⅳ.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의 가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소윤(Han, So-youn). (2022).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연구. 서예학연구, (), 109-137

MLA

한소윤(Han, So-youn).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연구." 서예학연구, (2022): 109-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