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대미얀마 공적개발원조(ODA) 효과성과 개선 방안

이용수 5

영문명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gram: Focusing on the Saemaul Undong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장준영(Jang Jun Young)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4권 제3호, 71~10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의 대미얀마 공적개발원조(ODA)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원조효과성 차원에서 효율적인 개발협력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새마을운동이 실시된 두 마을을 선정하고, 직접 현지조사를 수행했다. 새마을운동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문제가 노출되었다. 시범마을 선정의 중요 기준을 발견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마을주민은 새마을운동의 진정한 목적을 인지하지 못했다. 또한 현지 사정에 익숙하지 못한 한국 전문가들은 마을 지도자와 의사소통에도 소극적이었다. 마을 인프라 구축에는 부분적으로 성공했지만, 자립과 자조와 관련되는 사업은 지속되지 않았다. 게다가 한국 정부는 마을의 수요를 고려하거나 마을 주민의 의견을 수집하는 데에도 적극적이지 않았다. 사회적 자본 측면에서 마을 주민은 이장을 중심으로 한 현 지도체제와 새마을 지도자체제로 분열되었다. 즉 그들에게 새로운 제도는 전통적 농촌마을에 대한 도전이자 경계의 대상이었다. 마을 주민은 새로운 제도를 수용하기보다 소극적 저항을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우회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또한 그 대안으로 미얀마 전문가나 현지인이 사업 타당성 조사나 사업시행 과정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이들은 마을 주민과 소통이 필요할 때, 마을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중재자가 될 수 있다. 원조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합치되어야 하는데, 특정 지역에 대한 전문가가 개발원조사업에 참여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poses an alternative to strengthen aid effectiveness, evaluating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n Myanmar. In doing so, this author chose the Saemaul Undong as a representative case of Korea’s ODA program and has done field research in the two villages which had conducted the Saemaul Undong. The project had conducted in field of economic capital accumulation and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he former contains to build a road, renovate house mainly including change of roof, introduce new income generation system of household like pig and chicken farm and financial loan system, the latter aimed to build up self-help and self-reliance among villagers. However it cannot find crucial factors the reason two villages were chosen a model village, so villagers did not recognize a real purpose of the Saemaul Undong project. Furthermore, Korean specialists who are not familiar to Myanmar’s current rural area did not communicate with villagers. Although construction of social infrastructure was partly successful, projects related to self-help and self-reliance were not continued so that income of village was not raise. Moreover, some agricultural instruments and small textile company were not in operation, since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consider demands and collect villagers’ opinion.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e villagers divided into an incumbent ruling group and the new Saemaul leader’s group. In other word, for villagers new outer institution was a kind of a new challenge on the traditional rural area. Villagers intended to keep their living standard not understanding of new institution with passive resistance to take part in the project. In conclusion and an alternative, Myanmar specialists or natives should be involved in the stage of feasibility studies, conducting the project. Mainly these could be an moderator when it needs communicate with villagers and trouble happens in the village. To strengthen of aid effectiveness could achieve when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fulfill each other, which means specialists on the specific region should participate in the ODA project.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논의
Ⅲ. 사례 선정과 마을에서 새마을운동의 성과
Ⅳ. 경제적 자본의 축적과 비판: 성공적인 외부자의 지원?
Ⅴ.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비판: 마을 내부의 갈등
Ⅵ. 정책적 대안 제시: 결론에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준영(Jang Jun Young) . (2017).한국의 대미얀마 공적개발원조(ODA) 효과성과 개선 방안. 아태연구, 24 (3), 71-103

MLA

장준영(Jang Jun Young) . "한국의 대미얀마 공적개발원조(ODA) 효과성과 개선 방안." 아태연구, 24.3(2017): 71-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