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에 대한 한 민족지적 연구: 일과 정체성

이용수 2

영문명
An Ethnographic Study on Korean Women in U.S. Military Camptowns: Work and Identity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김미덕(Miduk Kim)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1권 제3호, 251~29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미군 캠프타운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들(40-70대)의 삶을 분석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 참여자의 공통된 구술의 특징은 스스로를 성 노동자로 규정하지도 않았고, 성매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에도 일을 부정하지도, 변명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캠프타운에서의 생활(법적 결혼 포함)은 여성들이 거친 여러 비공식적, 임시직의 일환이었기 때문에 대중적인 부정적 호칭으로 자기정체화할 필요가 없었다고 설명한다. 이는 여성들의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동일시, 탈동일시, 무시, 적응 등 다양한 정체성 수행방식을 살펴보았다. 여성들은 빈곤, 캠프타운에서의 일, 파트너와의 긴장과 불화 등 많은 어려움에 놓여 있었다. 그런데 이는 여성들이 피해자로서 운명에 순응하며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적응’, ‘힘든 노동으로부터의 풍요로움’, 그리고 ‘가난뱅이들의 억척스럽고 모진 청청함’이라는 언술들의 통찰에서 알 수 있는데, 예컨대 빈곤은 당연히 폭력이지만 동시에 인내와 회복의 가능성 또한 내재하고 있어 삶을 앞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힘을 갖는다고 보았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캠프타운 여성에 대한 성애의 물신화 경향과 숙명론을 문제 제기하면서 지식의 정치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material realities of Korean women(mostly 40s-70s) in U.S. camptowns. Based on the field research in 2006 and 2007, this article explores the women's own perceptive on their lives and identity question. This article started from two findings during the fieldwork research. First, women’s narratives were centered on work, adjustment and current situations rather than liaisons with foreign soldiers and sex trade itself. Second, most informants neither identified themselves as sex workers, nor did they deny that they are not sex workers even when they clearly spoke about knowledge of the sex trade. I have suggested main reasons for their reticence through various forms of dis/identification from social class, sex trade as a form of work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Sex trade is work in that it is on the continuum of other informal and temporary jobs. It includes legal marriage to GIs their dis/identification is not grounded on sex trade itself but, rather class and the form of work they exert various forms of identities ranging from identification, dissimulation to disidentification from social positions. Thus the narratives of their past and the experiences of the sex trade is adjustment rather than total denial or shame(by not speaking about the experience of sex trade). This includes subtle, qualitative transformation such as ‘abundance from hard labor’ from the subsistence perspective and ‘pure vitality from poverty.’ It implies that suffering such as poverty involve not only violence but also embed the possibility of recuperation and patience that make them move forward for better life.

목차

Ⅰ. 서론
Ⅱ. 현장노토
Ⅲ. 일과 정체성
Ⅳ. 생애에 대한 한 해석
Ⅴ. 요약과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덕(Miduk Kim) . (2014).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에 대한 한 민족지적 연구: 일과 정체성. 아태연구, 21 (3), 251-290

MLA

김미덕(Miduk Kim) . "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에 대한 한 민족지적 연구: 일과 정체성." 아태연구, 21.3(2014): 251-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