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질과세원칙 적용시 납세자 유․불리에 관한 판례의 현황과 그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Analysis of Supreme Court Cases about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Taxpayer when Applying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문필주(Phil Joo Moon)
간행물 정보
『세무학연구』제35권 제3호, 87~1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7년 12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이 신설되었다. 대법원의 입장이 변경된 판결로 평가받는 대법원 2012. 1. 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이 나온 이후에도 제14조 제3항이 일반적인 조세회피방지 규정으로서의 성격을 갖는지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긍정하는 견해와 부정하는 견해로 대립하고 있고 아직까지 제14조 제3항의 성격에 대하여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양상이다. 국세기본법 제14조는 제1항, 제2항, 제3항의 세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항의 성격상 제1항·제2항과 제3항으로 구분된다. 제1항과 제2항은 실질과세에 관한 규정으로 납세자에게 유리하게 또는 불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국면이 존재하고, 제3항은 규정의 내용상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규정으로서 제3항 규정 하나로 전면적으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지 여부, 이른바 제14조제3항이 일반적 조세회피방지 규정(GAAR)의 성격을 갖는지 여부에 관한 논의가 존재한다. 조항의 성격이 다르다는 것은 조항의 적용측면에 있어서도 각 조항이 달리 적용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2015년 1월부터 2018년 4월까지의 대법원 판례들을 대상으로 국세기본법 제14조 각 항에 대한 대법원 판례의 시각에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 등을 밝혀 다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첫째,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제2항 및 제3항의 적용에 있어 납세자에게 유·불리한 차이가 있고 이를 통해 제1항·제2항과 제3항이 성격을 달리함을 보여준다. 둘째, 제14조 제3항이 일반적 조세회피방지 규정에 해당한다고 보는 사례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판례들 사이에서 제1항·제2항·제3항의 관계를 보고자 한다. 그 결과, 국세기본법 제14조가 어떤 성격을 갖는지 도출한다. 대법원 판례들을 통해 제14조에 대한 양상을 분석해본 결과, 추려낸 8건의 대법원 판결은 실질과세원칙이 납세자에게 반드시 불리하게 적용되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8건의 판결은 대법원 2012. 1. 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과 같이 경제적 실질설에 입각한 시각을 견지한 판례도 있었지만, 이와 무관하게 당사자가 주장하는 실질의 타당성을 판단한 판결들도 있었다. 제14조 제1항·제2항·제3항의 관계를 설시한 판례를 찾고자 하였으나 관계를 설시한 판례는 없었다. 제3항의 적용이 문제되었던 판례의 경우 제14조 제3항에 따라 과세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고,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제4항에 대한 대법원 2015두46963 판결과 같이 제14조 제3항의 적용요건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2015두46963 판결의 입장이 유지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었다. 또한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을 일반적 조세회피방지 규정으로 보아 적용한 사례도 없었다. 종합해보면, 제14조 제1항과 제2항은 실질과세 규정으로 납세자에게 유리하게 적용되기도 하며, 제3항은 조세회피방지 성격의 규정에 해당하여 납세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면이 있고, 대법원이 제3항을 일반적 조세회피방지규정으로 보고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판례들로부터 현출된 결과만 놓고 본다면 제14조는 조항의 성격상 제1항·제2항과 제3항으로 구분할 수 있고 실질과세라는 큰 범주 내에 조세회피방지에 대한 규정이 포함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December 2007, Article 14(3) of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as newly established. The Supreme Court 2012.1.19. sentence 2008Doo8499 judged to have changed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on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Even after this judgment, academics are confront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as to whether the Article 14(3) has a character as a GAAR pursuant to the introduction of clause 3, and the nature of Article 14(3) has not been clarified. Article 14 consists of three clauses, divided into (1)·(2) and (3) by nature of clause. (1) and (2) are clause on Substance-over-Form Principle that are likely to be favorably or unfavorably applied to taxpayers. (3) has the character of preventing Tax Avoidance and there is an argument of whether the so-called Article 14 has the nature of a general anti-tax avoidance(below, GAAR). The difference in nature of the provision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each provision may be applied differently in the application aspect of the provis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The Supreme Court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18, and show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on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of Article 14. First, the application of Article 14(1)·(2) and (3) shows that there is a favorable and unfavorable difference to the taxpayer, and this shows (1)·(2) and (3) are different in character. Second, I would like to see whether there is a case where Article 14(3) falls under the GA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use 1·2·3. As a result, it derives the character of Article 14. As a result of analyzing aspects of Article 14 through Supreme Court precedents, the eight Supreme Court decisions show that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is not necessarily adversely applicable to taxpayers. In addition, there were judgements based on the economic substance, just like The Supreme Court 2012.1.19. sentence 2008Doo8499, but also there were judgments that judged the validity of the substance claimed by the parties. I sought to find a case that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14(1)·(2)·(3). However, there was no case precedent of their relationship. There was a precedent in which the application of clause 3 was problematic,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can not be tax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14(3). And This judgment did not provide the application requirements of Article 14(3), like the Supreme Court 2015Doo46963 which was set forth in Article 2(4) of the former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t did not confirm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2015Doo46963 would be maintained. In addition, there were no cases where the Article 14(3) was applied as a GAAR. In Sum, Article 14 (1)·(2) may be applied favorably to taxpayers as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3) is applied unfavorably to taxpayers as an Anti-Tax Avoidance rule. It is uncertain whether the Supreme Court sees Article 14(3) as a GAAR. If we look only at the outcome of the judgments, Article 14 can be divided into (1)·(2) and (3) by nature of clause, and may be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clause for Tax Avoidance within a large category of Substance-over-Form Principl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의 차별점
Ⅲ. 국세기본법 제14조의 내용과 제3항 도입에 관련된 논의
Ⅳ. 2015.1.~2018.4. 대법원 판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필주(Phil Joo Moon) . (2018).실질과세원칙 적용시 납세자 유․불리에 관한 판례의 현황과 그 분석. 세무학연구, 35 (3), 87-117

MLA

문필주(Phil Joo Moon) . "실질과세원칙 적용시 납세자 유․불리에 관한 판례의 현황과 그 분석." 세무학연구, 35.3(2018): 87-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