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용복의 도일선박 복원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6

영문명
Rethinking the Restoration of the Ship that Ahn Yong-bok Took for Japa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이상균(Yi, Saangkyun) 안동립(An, Dong-Lip)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2호, 7~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울릉도 안용복기념관과 부산 안용복기념 부산포개항문화관에는 안용복 일행이 1696년 도일 당시 타고 갔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을 복원·전시해 놓았는데, 연구결과 안용복의 도일 당시 선박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용복 일행은 순천승 뇌헌이 준비해 온 선박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갔는데, 당시 뇌헌과 동행했던 승려들은 모두 의승수군으로 전라좌수영 소속 군인이었다. 따라서 그들이 타고 갔던 배는 당연히 군선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인 추론일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선의 군선에 관한 남북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17세기 말 안용복의 도일선박의 형태와 크기를 실제에 가깝게 재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릉도 안용복기념관과 부산 안용복기념 부산포개항문화관에 전시된 선박은 기본적으로 일본 무라카미 가문에서 발견된 「원록구병자년조선주착안일권지각서(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 이하 지각서)」에 기록된 선박의 치수 등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복원된 것으로 보이나, 선박의 형태는 1920년대 어선의 모델을 본따 만든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안용복 일행이 타고 갔던 배는 전라좌수영 소속 군선이라는 가정하에 조선후기 군선의 종류와 크기, 노의 개수와 능로군(격군) 편성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무라카미 가문의 「지각서」에 기록된 정보와 가장 합치되는 선박은 사후선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유형원의 반계수록(1670)에 기록된 선박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조선중기 해선의 종류는 대선(大船), 대차선(大次船), 중선(中船), 중차선(中次船), 소선(小船), 소차선(小次船)으로 구분되는데, 안용복 일행이 타고 갔던 선박은 소선에 해당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유형원의 반계수록(1670)에는 배의 치수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자료의 기록에 따르면, 3판의 현(舷)을 따라 잰 길이를 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각선도본(各船圖本)」에 수록된 전선(戰船), 병선(兵船), 조선(漕船) 등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조선후기 선박의 선수면인 비우판(鼻羽板)에는 나무판자가 상하방향으로 붙여져 있는데, 울릉도에 전시되어 있는 복원선의 경우는 비우판의 나무판자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붙여져 있다. 따라서 향후, 안용복의 도일선을 다시 복원한다면 비우판의 형태나 나무판자를 붙이는 방식도 최대한 당시 선박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t the Ulleungdo An Yong-bok Memorial Hall and Busan Ahn Yong-bok Memorial Busanpo Open Port Cultural Center, ships that are believed to have been ridden during the time when Ahn Yong-bok and his party went to Japan are restored and exhibited. Howev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the ships displayed were far from the ships Ahn Yong-bok rode on. Ahn Yong-bok and his party crossed to Japan on a ship prepared by Monk Noe Heon. However, at that time, the monks who accompanied Noe Heon were all Uiseungsugun, who belonged to Jeolla Jwasuyeong. Therefore, it would be a reasonable inference to regard the ship they rode as a military 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stically reproduce the shape and size of the ship Ahn Yong-bok rode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he came to Japa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North and South Korean data on military ship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essels exhibited at the Ulleungdo and Busan are basically restored based on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the size of the vessel recorded in the 「Kenroku kyu heisinen chosen syuchakugan ikkenno oboegaki」 found by the Murakami family in Japan. However, the shape of the ships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after the model of a fishing boat in the 1920s. Second, assuming that the ship Ahn Yong-bok and his companions rode was a military ship belonging to Jeolla Jwasuyeong, the types and sizes of military shi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oars and the organization of Neungro(rowers)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identified that the ship most consistent with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urakami family's 「Kenroku kyu heisinen chosen syuchakugan ikkenno oboegaki」 was the Ship Sahu(a kind of small military ship). Third, according to the data on ships recorded in Bangyesurok(1670), Yu Hyungwon's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types of ships in the mid-Joseon period were Daeseon(large boat), Daechaseon(slightly smaller than large boat), Jungseon(medium boat), Jungchaseon(ships slightly smaller than medium boats), Soseon(small boats), and Sochaseon(ships slightly smaller than small boats). It is understood that the vessel Ahn Yong-bok and his companions went on was a small vessel. Fourth, Yu Hyungwon's Bangyesurok(1670) con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ze of the ship, but the length of the ship recorded in the historical records is not the straight length between the bow and the stern of the ship, but the length of the shell plate except for a certain part of the fore and aft. Lastly, according to the data on various ships recorded in 「Gakseondobon」, wooden planks are pasted up and down on the Biupan, the fore face of shi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case of the restored vessel displayed at the Ahn Yong-bok Memorial Hall in Ulleungdo, the wooden planks of the Biupan are pasted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Therefore, if the ship Ahn Yong-bok rode is restored in the future, the shape of the Biupan or the method of attaching the wooden planks needs to be treated in the same way as the ship at the time of Ahn Yong-bok.

목차

Ⅰ. 머리말
Ⅱ. 울릉도, 부산에 전시된 안용복 도일선박의 복원 실태
Ⅲ. 조선중기 군선의 종류와 특징
Ⅳ. 안용복 도일선박의 설계도 재구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균(Yi, Saangkyun),안동립(An, Dong-Lip). (2022).안용복의 도일선박 복원에 관한 비판적 고찰. 독도연구, (), 7-36

MLA

이상균(Yi, Saangkyun),안동립(An, Dong-Lip). "안용복의 도일선박 복원에 관한 비판적 고찰." 독도연구, (2022): 7-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