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한과 백제의 관계

이용수 31

영문명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Baekje: The same Entities with different Name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박동(Park, Tong)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8호, 135~17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마한과 백제가 이름만 다를 뿐 동일한 실체라는 사실을 밝히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삼국사기』에서는 마한이 서기 9년에 백제(百濟) 온조왕에게 멸망당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의 『삼국지』나 『후한서』 등에는 3세기에동이(東夷)의 나라 중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한 마한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등장한다. 백제(伯濟)는 마한의 55개국 중 한 나라로 등장한다. 『양직공도』에는 백제(百 濟)가 래이마한에 속한 나라였다고 했다. 그러나 서진이 멸망하고 동진이 성립한 이후 마한 관련 기록은 중원의 기록에서도 일체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도 마한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록이 없다. 그 결과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은 역사의 기록에서 공백으로 남게 되고 기원 369년 백제 근초고왕의 마한병합설, 일본의 임나일본부설 등 식민사학의 허구적 주장들이 제기되기에 이르른다. 그러나 지난 20여년 간 호남지역 고고학의 성과에 힘입어 옹관묘 세력으로 대표되는 마한세력이 최소한 6세기초·중반까지는 존립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중원의 사서의 기록과 한반도의 지명, 씨족, 백제 멸망 시기의각종 기록 등을 종합해서 살펴본 결과 백제는 마한의 다른 이름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마한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백제로 이름을 바꾸어 대외활동을 하였던 것이다. 마한과 백제는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도 460여년 간 커다란 갈등없이 평화적으로 상호 공존한 것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중원의 사서들은 백제를 건국한 사람이 부여왕 구태라면서 마한의 후원하에 대방고지 또는 마한고지에서 마한의 속국으로 성립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국 사서들의 기록을 정밀하게 살펴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진(晉)나라가 남쪽으로 내려가기 이전까지의 서진 시기에는 백제가 전혀 등장하지않고 마한만이 외교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오고, 동진 시기 이후에는 백제만이외교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것은 단층과 같이 구분되는 것이어서 우연한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당나라에서는 백제를 정벌할 때 동맹군 총사령관인김춘추를 우이도행군총관으로 임명했다. 소정방의 직책에도 우이, 마한이라는호칭이 등장한다. 우이(嵎夷)는 월지(月支)로서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존립하고 있던 마한 세력을 가리킨다. 왜 백제를 정벌하러 가면서 영산강 세력들을 호칭했을까? 이러한 모든 사실들은 마한과 백제가 이명동체였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Mahan and Baekje are the same entities only with different names.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Mahan was recorded that it was destroyed by King Onjo of Baekje(百濟) in the ninth year of AD. However, in China's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Book of Later Han, detailed records of Mahan, which occupied the largest area among Dong-i(東夷) countries in the 3rd century, appeared. Baekje(伯 濟) appeared as one of the 55 countries in Mahan. And in Yangjikgongdo, Baekje(百濟) was a country belonging to Lai-Yi Mahan. However, since West-Jin was destroyed and East-Jin was established, the records of Mahan do not appear in the history records of the China. There is no record of Mahan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History Records of Japan. As a result,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empty in the history record, and the fictional claims of colonial history such as the merger of Baekje in 369 AD and the Imna Japanese envoy are raised.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Mahan, represented by the forces of Ongwan tombs, have survived at least until the early and mid 6th century thanks to the achievements of archaeology in Honam province for the past 20 years. Furthermo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istory records of the China, the place nam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lan, and various records of the time of Baekje's destruction, Baekje was confirmed to be another name of Mahan. In other words, Mahan did not disappear, but changed it’s name to Baekje and engaged in diplomatic activities. Mahan and Baekje have been peacefully coexisting for 460 years without any major conflicts. Moreover, the History Books of China recorded that the person who founded Baekje was Gutae, the king of Buyeo, and that it was established as a tributary of Mahan in the Daebang Area or Mahan Area under the sponsorship of Mahan In the field of diplomatic activities Baekje did not appear at all in the West-JIn period but Mahan did active diplomatic activities. Since the East-Jin period, Baekje only performs diplomatic activities. This is a distinction like a fault layer, so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n accidental phenomenon. In Tang Dynasty, when Baekje was conquered, Kim Chun-chu was appointed as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Wui Clan Conquest. The titles of Wui and Mahan also appear in the positions of Sojeongbang, which refers to the Mahan forces that existed around the Youngsan River basin as Wolji. Why did they refer to the Youngsan River forces while going to conquer Baekje? All these facts confirm that Mahan and Baekje were the same entities with different names.

목차

1. 들어가며: 마한과 백제는 한 몸이었다
2. 마한과 백제의 460여년 간 평화적 상호 공존
3. 중국 사서의 기록에 등장하는 ‘마한에 속한 백제’
4. 외교활동에서 마한과 백제의 역할 분담
5. 백제 멸망시 나·당 연합군 장수들의 직함에 등장하는 우이, 마한
6. 여타의 수많은 근거들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동(Park, Tong) . (2021).마한과 백제의 관계. 역사와 융합, (), 135-174

MLA

박동(Park, Tong) . "마한과 백제의 관계." 역사와 융합, (2021): 13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