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허황옥 신행길의 새로운 고찰

이용수 59

영문명
New Contemplation on the Journey of the Queen Heo Hwang-ok to Marry the King Suro: Study on the Route of the Queen to Garak State & Word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도명스님(Monk Domyeong)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8호, 41~8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고대사에 나오는 고구려·신라·백제는 『삼국사기』 본기에 자세히 실려 있으나, 같은 시기에 김해지역을 도읍지로 삼은 6가야 중의 하나인 가락국은서기 42년부터 532년까지 490년간 수로왕에서 비롯되어 그 자손에 의해 왕국을이어 왔지만 『삼국사기』 본기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단지 『삼국사기』 地理부金海小京조와 신라본기 婆娑尼師今조와 法興王조 그리고 열전 金庾信조에 단편적으로 나올 뿐이다. 물론 이 외에도 가야국에 관한 약간의 기사가 신라본기에 나오지만 가락국에 관한 정보가 빈약한 실정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기록에는엄연하게 후한 건무18년(서기 42년)에 수로왕이 나라를 세웠으며, 그의 후손 구해왕이 법흥왕 19년( 서기 532년)에 신라에 항복하였다고 나와 있다. 그리고 『삼국유사』 권제 2 奇異편의 『가락국기』에는 수로왕과 가락국에 관한 기사가 『삼국사기』 보다는 매우 풍부하게 실려 있다. 그 가운데 하나로써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이 서기 48년에 가락국 수로왕과 혼인하기 위해 먼 바다를 항해하여 가락국에도착하는 과정에 있는 망산도(望山島), 승점(乘岾), 주포(主浦), 기출변(旗出邊), 능현(綾峴). 왕후사(王后寺) 등의 명칭이 『가락국기』에 최초로 나오는데, 이와 상치(相馳)되는 다른 문헌이 없지만 오랜 세월에 그 지명의 장소가 오늘날에는 어디를 지칭하는지 잘 알 수 없는 지경이다 보니 연구자들 마다 추정하는 장소가다를 뿐 아니라 『가락국기』의 기사와 너무나 동떨어진 경우도 있어서 가야사에관심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게 혼선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김해에 거주하고 있는 본 연구자의 입장에서 한번쯤 再考할 필요를 느꼈기에 선행연구자들의연구 성과들을 참고하면서 『가락국기』의 내용과 상관관계가 있는 현장을 아울러서 고찰해 본 결과, 망산도는 오늘날 국립지리원에서 제작한 지도에서 가덕도와진해구 용원동 사이에 있는 섬인 견마도(牽馬島)를 표시한 곳이 망산도이다, 그리고 주포는 창원시 진해구 가주동의 주포마을이다. 겸하여 ‘김해명월사 사적비’ 에 나오는 진국사(鎭國寺)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현재의 부산시 강서구 지사동명동마을의 흥국사(興國寺) 주변이 아니라, 주포와 연접한 옥포마을 뒷산인 부산시 강서구 송정동 산20번지에 있었다고 추정된다. 그 외 기출변과 승점과 능현과 왕후사지는 기존의 학설과 달리 문제제기 차원에서 언급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Goguryeo, Silla and Baekj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re described in details in the relevant section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ree Kingdoms. However, Garak state whose capital was Gimhae region as one of 6 Gaya states in the same period as Three Kingdoms was not mention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ree Kingdoms while its kingdom existed for 490 years from AD 42 to AD 532, which was founded by the king Suro and continued by his descendants. Garak state was briefly recorded in Gimhae Sogyeong Part in Geography Sectio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ree Kingdoms, Pasa Yi Sageum Part and the King Beopheung Part in the Records on Silla Kingdom and Kim Yu-shin Part in Biography Section. Besides, a short story on Gaya state is written in the Records of Silla Kingdom, but there is no sufficient information on Gaya state. “Historical Record of Three Kingdom” definitely wrote that the King Suro founded Gaya state in AD 42(18th Geonmu Year in the Later Han in China) and the King Guhae, the descendant of King Suro, gave in to Silla in 532(19th Year of King Beopheung’s reign). “Record of the Garak State” in the Wonder Section, the Memorabillia and Mirabillia of Three Kingdoms Vol. I provides more information on Garak State and the King Suro tha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ree Kingdoms’. “Record of the Garak State” in the Wonder Section described the names ‘Mangsando(望山島)’, ‘Seungjeom(乘岾)’, ‘Jupo(主浦)’, ‘Gichulbyeon(旗出邊)’, ‘Neunghyeon(綾峴)’ and ‘Wanghusa(王后寺)’ on the journey of the princess Heo Hwang-ok of Ayuta Kingdom to Garak State after sailing the sea from far to marry the King Suro of Garak State in AD48 for the first time. While there is no literature disputing the names above, it’s now known where those names are at present because of the lapse of times. Thus, those names vary on researchers and some name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tory in the “Records of Garak State”. Accordingly, those names confuse those who are very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Gaya State. As the researcher living in Gimhae, I thought it should be reexamined. So as referr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I analyzed the sites related to those names in the Records of Garak Stat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Mangsando was Gyeonmado island between Gadeokdo island and Yongwon-dong, Jinhaegu on the map publish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t present. Jupo was Jupo village in Gaju-dong, Jinhae-gu, Changwon. Furthermore, it was estimated that Jinguksa written on the ‘Memorial Stone of Gimhae Myeongwolsa Temple’ was not around Heunguksa temple in Myeongdong village, Jisa-dong, Gangseo-gu, Busan at present as widely known, but around San 20, Songjeong-dong, Gangseo-gu, Busan, the hill behind Okpo village near Jupo. Gichulbyeon, Seungjeom, Neunghyeon and Wanghusaji are mentioned to raise a question unlike existing insistence. [Key Words] Records of Garak State, Heo Hwang-ok, Ayuta

목차

1. 시작하는 말
2. 가락국과 수로왕비 도래(到來) 경로(經路)의 지리적 환경
3. 허황옥 도래 경로의 지명과 장소
4. 망산도와 주포 위치에 대한 소론
5. 도래 경로와 시간적 추이
6. 도래 전후의 주변 스케치
7.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명스님(Monk Domyeong) . (2021).허황옥 신행길의 새로운 고찰. 역사와 융합, (), 41-83

MLA

도명스님(Monk Domyeong) . "허황옥 신행길의 새로운 고찰." 역사와 융합, (2021): 4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