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야사와 가야불교사 인식의 새 지평을 위해서

이용수 52

영문명
For the new horizon in the recognition on the Gaya History and its Buddhism History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이덕일(Lee, Deok-Il)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8호, 7~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한국의 가야사 인식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못하다. 가야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것은 대일항전기 때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었는데, 이들은 가야에대한 사료가 부족한 것을 기회 삼아 『일본서기』에 나온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해서고대 야마토왜의 식민지가 가야였다는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었다. 광복 후 일본인 학자들의 이런 연구에 대해서 한국(남한) 학계는 총론으로는 “임나일본부설을 극복했다”고 비판하는 척했지만 내용적으로는 ‘임나=가야’라는 임나일본부설의 핵심논리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 북한 학계는 1963년 김석형이 분국설을 제창하면서 형식적, 내용적인인 면에서 임나일본부설을 완전히 폐기시켰다. 그 결과 남북한의 가야사 인식은 극과 극을 달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 학계는 『삼국유사』 「가락국기」 및 『삼국사기』 등의 문헌사료와 옛 가야지역의 각종 고고학 유적, 유물을 가지고 가야 건국시기를 서기 1세기로 인식하지만 남한 학계는 가야가 서기 3세기 경에 건국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야사 연구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분야는 가야불교사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서 452년 왕후사를 세웠다는 기록을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가야에서 왕실사찰을 세웠다는 기록이지 가야에 불교가 처음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아니라고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허왕후가 서기 48년 아유타국에서 가야로 오면서 가져온 파사석탑은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5세기 중엽으로 보는 시각이 문제가 있음을 말해준다. 『삼국사기』의 고구려·백제 불교전래에 관한 기록은 대승불교의 전래기록인데, 최치원이 쓴 「지증대사탑비」에는 대승불교보다 소승불교가 먼저 들어왔다고 해석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이런 사실들은 우리가 과거의 가야사 해석, 특히 대일항전기 때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 만든 고정된 가야사의 틀을 근본적으로 다시 검토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Gaya history in Korea is not properly recognized at present. Those who concentrated on the researches on Gaya history were the colonial historians in Japan during the resistance period against Japan. Those colonial historians investigated the Gaya history with the viewpoint that Gaya was the colony of the ancient Yamato dynasty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Imna Japanese Headquarters written in the “Chronicles of Japan” because there was no sufficient historical data on Gaya.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t’s not too much to say that Korean historians(South Korea) repeated the key logic of the theory of Imna Japanese Headquarters in terms of the contents while they generally pretended to criticize the theory of Imna Japanese Headquarters. However, the North Korea completely abolished the theory of Imna Japanese Headquarters both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forms as Kim Seok-hyeong advocated the theory that Imna was the country built by Yamato Dynasty in Japan in 1963. As a result, the recognition on Gaya histor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completely different. North Korean historians insisted that Gaya was founded in the 1st century BC on the basis of the ancient literature including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Record of the State of Garak”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a variety of archaeological remains and heritages. On the contrary, South Korean historians pointed out that Gaya was founded in around the 3rd century BC. Another important field in the research on Gaya history is Buddhism history of Gaya. It was understood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 Gaya in 452 when Wanghusa Temple was built as recorded in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Record of the State of Garak”. But it can be also analyzed that just a royal temple was built in Gaya but it didn’t mean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 Gaya for the first time. Bhasa stone pagoda, which the queen Heo brought when she came from Ayuta kingdom to Gaya in 48, demonstrated the error of viewpoin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 Gaya in the mid-5th century. The records on Buddhism in Goguryeo and Baekje in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re about transfer history of Mahayana Buddhism. In accordance with the “Stone Monument of the Great Monk Jijeung” written by Choi Chi-won, it could be understood that Hinayana Buddhism was introduced in Korea earlier than Mahayana Buddhism. The ancient records above indicated that it would be the time to fundamentally review the Gaya history of the past, in particular, the frame of Gaya history built by the colonial historians of Japan during the resistance period against Japan.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가야건국시기에 대한 주장들
3. 북한은 가야 건국을 어떻게 보나
4. 가야는 임나인가?
5. 고구려, 백제 불교전래 기사의 의문점들
6. 가야 불교 전래시기
7.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덕일(Lee, Deok-Il) . (2021).가야사와 가야불교사 인식의 새 지평을 위해서. 역사와 융합, (), 7-40

MLA

이덕일(Lee, Deok-Il) . "가야사와 가야불교사 인식의 새 지평을 위해서." 역사와 융합, (2021): 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