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金宇顒의 元史 인식과 『續資治通鑑綱目』

이용수 62

영문명
Kim Woo-ong′s The awareness of Yuan-dynasty's history and 『Xuzizhitongjiamgangmu』(『續資治通鑑綱目』)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5권, 55~9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초기에는 원나라를 정통을 인정하고 원나라의 치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고려말에 도입된 원대 성리학의 영향, 고려말 지식인들이 가지고있던 형세 중심의 화이관, 세종대 용하변이 강조 등 때문이었다. 성종대에는 남송대 주자학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호안국의 『춘추호씨전』이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남송대 주희와 호안국으로 대표되는 종족 중심의 화이관과정통론은조선성종,중종대를거치면서지식인들에게확산되었으며,이를바탕으로 선조대 김우옹의『속강목』, 정구의『역대기년』등 정통론에 입각한 중국사 서술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중에서도 김우옹의『속강목』은 당시 송원사 교재로 주로 활용되던 상로의『강목속편』을 자신의 정통론에 입각하여 수정하고, 원나라의역사는정통이아님을밝혔다. 김우옹은 상로의『강목속편』이 주자의 義例와 합치하지 않는 부분이 많은 것 비판하고, 『속강목』을 편수하였다. 『강목속편』에서 정통으로 인정되었던 원나라를『속강목』에서는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음에 따라 권12에 해당하는 원나라 역사의 많은 부분이 산삭되었다. 김우옹은『속강목』에서 원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1293년(원세조 지원17년)~1368년(원순제 지정28년)까지의 기록에 대해 세년은 分注하여 작은 글씨로 기록하였으며, 국호와 묘호는 쓰되 군명 대신 이름을 적어 원이 정통이 아닌 무통임을 드러내었다. 또한 황제와 고위관직 등 원나라의 기본적인 동정 이외에 재이나 원말의 반란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록하여 원이 정통이 아니기때문에 치세가 불안함을 강조하였다. 다만 원나라의 황제를 ‘主’가 아닌 ‘帝’로 지칭하거나 황제의 즉위를 ‘立’이 아니라 ‘卽位’로 표현하였으며 황제의 죽음은‘崩’이 아니라 ‘殂’로 표현함으로써 정통과 무통이 혼재된 표현이 등장한다. 김우옹은 1591년(선조 24) 11월부터『속강목』의 편수를 시작하여 1595년(선조 28) 3월에『속강목』을 완성하였다. 1771년(영조 47)에 당시 왕세손이었던 정조의 명으로 내각에서 활자로『속강목』이 인쇄되었으며, 1808년(순조 8)에 성주의 청천서원에서 김우굉의 7대손인 김한동을 중심으로 초고의 오류를 바로잡고 목판으로 간행하였다.『속강목』에 주목한 것은 이항로를 비롯한 유중교, 김평묵 등의 화서학파였다. 유중교와 김평묵은 중심으로『화동강목』이 편찬되었다.『화동강목』은 원을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큰 뜻은 같았지만, 『속강목』이 원을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원사를 서술함에 주희의『강목』서법과 맞지 않은부분까지 엄격하게 수정함으로써 화이의 구분과 원의 무통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influence o f Wondae NeoConfucianism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situationoriented Hwaigwan held by intellectual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was recognized and positively evaluated. In Seongjongdae, there was a tendency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the Confucianism of Namsongdae, and Hoanguk's Chunchuho Clan Exhibition began to attract attention. The race-oriented white crown and orthodox theory, represented by Namsongdae Juhee and Hoanguk, spread to intellectuals through King Seongjong and Jungjongdae, and based on this, Chinese history accounts such as Kim Woo-ong's Sokgangmok and Jeong-gu's History began to appear. Among them, Kim Woo-ong's Sokgangmok was compiled based on the orthodox theory, pointing out that Sang-ro's Gangmok sequel, which was mainly used as a textbook for Songwonsa Temple, was orthodox, and that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was not orthodox. Kim Woo-ong criticized the fact that Sang-ro's Gangmoksokpyeon does not conform to the ritual of the runner, and edited Sokgangmok. As the Yuan Dynasty, which was recognized as orthodox in the Gangmoksokpyeon, was not recognized as orthodox in Sokgangmok, much of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which corresponds to Volume 12, was calculated. Sokgangmok did not recognize the legitimacy of the circle, so it was from 1293 The records until 1368 were recorded in small letters, and the national title and myoho were written, but the name of the county were written instead of the name of the county, revealing that the circle was painless. In addition to the basic sympathy of the Yuan Dynasty, such as the emperor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he rebellion of Jaein and Wonmal was recorded in detail, emphasizing the instability of the reign because Won was not orthodox. Kim Woo-ong began the compilation of Sokgangmok in November 1591 (the 24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and completed Sokgangmok in March 1595 (the 28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However, Sokgangmok was not published for a long time after its completion and remained an abstract. In 1771, Sokgangmok was printed, and in 1808(8th year of King Sunjo), Kim Han-dong corrected the errors in the draft of Sokgangmok and published it as a woodblock. Lee Hang-ro paid attention to Sokgangmok, which does not recognize the tradition of Won, and compiled Hwagangmok, focusing on Yujunggyo and Kim Pyeongmuk. Although "Hwagangmok" did not recognize the circle as orthodox, "Sokgangmok" emphasized the distinction of Hwai and the pain of the circle by strictly revising the part that does not fit Ju-hee's "Gangmok" narrative without acknowledged the circle as orthodox.

목차

Ⅰ. 머리말
Ⅱ. 『속자치통감강목』의 編修
Ⅲ. 元史 인식과 정통론
Ⅳ. 간행과 영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金宇顒의 元史 인식과 『續資治通鑑綱目』. 한국사학사학보, (), 55-96

MLA

. "金宇顒의 元史 인식과 『續資治通鑑綱目』." 한국사학사학보, (2022): 5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