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이용수 108

영문명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Rural Community through Thematic Community Design: Through action group role of rural new vigor plus business and analysis of its type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300~310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에 있어 핵심적 활동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액션그룹(147단체)을 대상으로 과연 이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된 공동체인지 그 성격을 조사해 유형을 분류하고, 조직 운용상의 특성 등을 분석하여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방향으로 테마형 커뮤니티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결과적으로 액션그룹은 크게 경제적 커뮤니티, 문화·관관형 커뮤니티, 테마형 커뮤니티로 분류할 수 있고, 소득창출에 목적을 둔 경제적 커뮤니티에 편중되어있는 것을 확인했다. 결국, 신활력플러스사업은 하드웨어 사업보다 소프트웨어, 휴먼웨어 성격의 사업추진에 방점을 두고 있고, 기존 정부제정지원사업에서 구축된 다양한 인프라의 활용과 연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특정 목적성 조직 못지않게 지리적 관계나 혈연적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많은 사람들을 연결하고 이어줄 수 있는 테마형 커뮤니티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이에 테마형 커뮤니티의 발굴과 참여기회 확대, 옥외 유휴공간의 적극적 활용과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 커뮤니티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효과 창출, 세대간 연계를 통한 공동체의 지속성 확보 등 커뮤니티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dissertation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matic community as regional community activation method by classifying type of action group(147 groups) which can be said to be pivotal activity organization for rural new vigor plus business by investigating their character, i.e., whether they are organized to play certain role. In conclusion, action group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economic community, culture· tour community and thematic commun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concentrated on economic community which aims to create income. After all, new vigor plus business emphasizes the promotion of business in the character of software and human ware than hardware. Considering that the utilization and connection of diverse infra built in exist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business i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matic community which can connect & link many people as efficiently as organization of specific purpose without being limited to geographic relation or consanguinity. Thus, the necessity of community design is suggested, that is, finding thematic community and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active utilization of outdoors unused space and politic support for it, creating synergy effec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ensuring continuity of community through connection between gener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한국디자인리서치, 7 (2), 300-310

MLA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한국디자인리서치, 7.2(2022): 300-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