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차 자리 변천 과정 고찰

이용수 147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a Jari in Korea and Suggestion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56집,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차 자리는 차를 마시는 행위뿐만 아니라 차를 매개로 하여 다도구, 다식, 다화 등을 준비하고 그 외의 주변 요소들을 즐기는 행위이다. 삼국의 차 문화공간에서 이루어진 차 자리는 귀족들과 승려들이 주로 즐겼고, 고려시대에는 왕과 귀족, 관리, 선비와 일반 백성들 모두가 일상으로 차를 마셨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초에는 귀족 중심의 차 문화였고, 고려 중엽에는 문인, 선비들의 차 문화가 융성하였다. 다회는 문인들이 즐겼는데 문인들의 차 자리는 여염집, 방장, 산실, 모제 등 다양한 형태를 띠었다. 조선시대의 차 자리는 김홍도의 회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옥외 공간에서 철학적 생태계와 공존하는 예술적 공간으로 심미의식과 차 자리의 다도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차 문화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차 자리의 특징으로 차의 색·향·미와 차 도구의 예술성, 차를 마시면서 즐기는 다식과 다화는 차 문화를 형성하는 종합예술로서 나타난다. 현재에도 차 문화로서 차 자리가 계승 발전되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차를 마시는 자리 즉 차 자리는 시끄러운 곳보다 조용한 곳, 화려한 것보다 소박한 것을 선호한다. 또한, 번거로운 것보다 간소하며, 깔끔하고 차 우리는 재미가 있는 곳이면 차 자리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차 자리를 삼국, 고려, 조선, 근·현대로 나누어 한국 차 자리 변천 과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ea', a favorite drink of today, has appeared in human life since the beginning of B.C. For the ancients, tea was used as a medicine and, more broadly, as a sacrificial food to the gods. The tea began as a symbol of communication with God and is being connected to modern times. For this reason, tea can be said to encompass pharmacology, ethnicity, spirituality, and artistry. As a characteristic of the tea table in the tea culture space, the color, flavor, beauty and artistry of tea Instrument, and the polyphagy and diversification enjoyed while drinking tea appear as a comprehensive art that forms tea culture. Cha Jari is not only the act of drinking tea, but also the act of preparing tea as a medium for tea to prepare Dadogu(茶道具), Dasik(茶食), Dahwa(茶花) diversification, etc., and to enjoy other surrounding elements. Even now, as a tea culture, the Cha Jari is being inherited and developed. In this paper, we will divide the Cha Jari into Goguryeo, Baekje, Silla, Goryeo, and Joseon to examine its aspects and features, and make suggestions for modern Cha Jari.

목차

Ⅰ. 서 론
Ⅱ. 시대별 차 자리 변천과 특징
Ⅲ. 차 자리의 다도구, 다식, 다화에 나타난 시대별 특징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한국의 차 자리 변천 과정 고찰. 차문화산업학, (), 1-32

MLA

. "한국의 차 자리 변천 과정 고찰." 차문화산업학, (2022):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