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섬진강-탐진강유역 청동기시대 유적의 편년과 전개

이용수 120

영문명
The Chronology and Development of Bronze Age Sites in the Seomjin River-Tamjin River Basi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2집, 40~77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0년대 이후 섬진강-탐진강유역 일대 발굴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특정 지역의 지석묘 문화에 편중되었던 연구 경향성을 벗어나 전 지역에 걸친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와 밀도, 편년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들어 전기로 소급되는 주거지와 무덤, 전기-중기 그리고 중기-초기철기시대 전환기에 해당하는 물질 문화가 발견됨에 따라 섬진강-탐진강 일대 청동기문화의 전개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게 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섬진강-탐진강 일대 유적의 분포와 특징을 정리하고 주거와 무덤의 구조, 무문토기의 기종과 기형, 출토유물의 분석에기초하여 해당 대상지역 청동기 문화의 시공적 전개양상을 설명하는데 있다. 세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 지역을 섬진강 상·중·하류역, 보성강유역, 탐진강 상·하류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에 속하는 취락 및 무덤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검토결과 섬진강-탐진강유역 취락과 무덤 유적에서는 전-중기에걸친 연속적인 점유나 계기적 발전과정이 확인되지 않는다. 즉 전기미사리유형, 역삼동유형 유적의 산발적 분포 이후 시공적 단절을 겪게 되며, 중기 들어 금강 상류, 황강-남강유역, 영산강유역, 남해안지역 등 주변 여러 권역의 물질문화가 유입·확산·수용되면서 섬진강-탐진강 유역의 청동기 문화는 다양한 문화적 특질이 혼합된 점이지대적 성격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As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continuously in the Seomjin-Tamjin River basin since the 2010s, it has become possible to discuss the distribution, density, and chronology of Bronze Age sites throughout the region, away from research focused on the dolmen culture in a specific region. In addition, recently, with the discovery of dwellings and tombs in the Early Age and material culture corresponding to the Early-Middle Ages and the transition period of Middle-Early Iron Ages, it wa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evelopment of Bronze Age culture in the Seomjin-Tamjin River bas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of the Seomjin-Tamjin River basin, and to explain the spatio-temporal development of the Bronze Age culture in this area based on the structure of dwellings and tombs, the types and shapes of Mumun pottery, and the analysis of excavated artifacts. For detailed analysi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gions of the Seomjin River, the Boseong River Basin, and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Tamjin Riv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tinuous occupation or sequential development process from early to middle period was not confirmed in the settlement and tombs in the Seomjin-Tamjin River basin. In other words, in the early period, the Misari type and Yeoksam-dong type were sporadically distributed in this area, showing a spatio-temporal disconnection. In the middle period, as material culture from various regions, such as the upper Geum River, Nakdong River basin,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southern coast area, flowed into and diffused into this area, it became a transition zone where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mixed.

목차

Ⅰ. 머리말
Ⅱ. 섬진강 일대 유적의 분포와 특징
Ⅲ. 탐진강 일대 유적의 분포와 특징
Ⅳ. 섬진강-탐진강유역 취락과 무덤의 편년과 전개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섬진강-탐진강유역 청동기시대 유적의 편년과 전개. 호서고고학, (), 40-77

MLA

. "섬진강-탐진강유역 청동기시대 유적의 편년과 전개." 호서고고학, (2022): 40-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