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석실구조로 본 해남 방산리 장고봉 고분

이용수 214

영문명
The Janggobong Ancient Tomb in Bangsan-ri, Haenam viewed from the stone chamber structur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2집, 190~214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해남 방산리 장고봉고분 발굴조사의 성과를 바탕으로석실의 구조적 특징을 재검토하여 장고봉고분 석실의 출현 배경과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장고봉고분은 일본열도 큐슈지역의‘열린 관’과 복실 구조가 확인되며, 구축 석재라는 재료적 한계와 토착적 구축방법(밀봉토)에 의해 축조된‘창출형’으로 이해된다. 장고봉고분 석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것이 일본열도 세토우치 연안지역에서 사바-미토요계 석실로 확인된다. 그중에서 구루마즈카고분 전방부 석실은 장고봉고분과 석실의 규모와 평면형태, 벽석 구축방법, 천장석의 형태, 현실과 전실의 천장 높이, 현문의 문주석 형태등이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장고봉고분과 사바-미토요계 석실은 큐슈계 석실의 영향 속에서 토착적 특징과 결합하여 새롭게 만들어진‘창출형’석실에 해당한다. ‘창출형’석실의 출현은 5세기 이후 백제-왜 사이에 새로운 관계가 성립되고 연안항로가 개척되면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배경에 있다. 이러한 교류·교섭의 상호작용에서 해남 일대의 장고봉고분으로대표된 세력과 일본열도 세토우치해의 사바지역과 미토요지역을 대표하는 세력들은 모두 연안항로 상의 길목에 해당하는 지정학적 요충지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중개자적 입장에서 성장을 도모하였고그 결과‘창출형’석실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of the Janggobong Ancient Tomb in Bangsan-ri, Haenam, this paper review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chamber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he Janggobong Ancient Tombs. The Janggobong Ancient Tomb is identified as the “open coffin” in the Kyushu region of Japan and multiple chamber structures and are understood as “the creative type” built by the material limitations of construction stone and indigenous construction methods (sealed soil). Considering that it is structurally similar to the stone chamber of the Janggobong Ancient Tomb, it is identified as the Saba-Mitoyo-type stone chamber in the Setouchi coastal area of Japan. Among them, the stone chamber in the front part of the Kurumazuka Ancient Tomb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Janggobong Ancient Tomb in the size and planar form, the wall stone construction method, the shape of the ceiling stone, the ceiling height of the tomb room and the front room, and the shape of the door pillars at the main gate. The Janggobong Ancient Tomb and the Saba-Mitoyo-type Stone Chamber correspond to the “creative” stone chamber combined with indigenous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Kyushu-type stone chamber. The emergence of the “creative” stone chamber has the background of interaction between Baekje and Japan after the 5th century, when a new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nd routes were pioneered. In this exchange and negotiation interaction, the forces represented by the Janggobong Ancient Tomb in Haenam and the Saba and Mitoyo regions of the Setouchi Sea in Japan actively used geopolitical points corresponding to the path of coastal routes to promote growth from an intermediary's point of view, and as a result, it is presumed that the “creative” stone chamber was created.

목차

Ⅰ. 머리말
Ⅱ. 구조적 특징 비교 검토
Ⅲ. 역사적 배경과 출현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석실구조로 본 해남 방산리 장고봉 고분. 호서고고학, (), 190-214

MLA

. "석실구조로 본 해남 방산리 장고봉 고분." 호서고고학, (2022): 190-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