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적 상처의 원인과 치유의 탐구

이용수 547

영문명
Exploring the Causes of and Cures for Psychic Wounds: Freud’s Evolving Theory of Trauma Revisited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 27권 2호, 87~11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트라우마의 발생과 치료에 대한 프로이트 이론의 변화와 연속성을 추적하여 트라우마에 대한 그의 통찰과 의의를 밝힌다. 프로이트는 히스테리의 원인을 외상에서 찾으며 트라우마를 외부에서 침입해 정신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정신적 상처로 정의하고 망각된 기억의 회복과 그 기억에 동반된 정동의 해소를트라우마 치료로 제시한다. 그는 트라우마의 메커니즘을 분리가 아닌 억압으로 설명하는 이론적 선회의 과정에서 주체가 저항을 극복하고 억압된 기억과 대면하는극복작업을 정신분석 치료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전쟁신경증 연구를 통해 그는 반복강박을 발견하고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의 트라우마 이론은 죽음욕동 개념과 만난다. 그리고 트라우마는 자아에 위협을 가하는 내적, 외적 위험에 대한 방어로 다시 정의된다. 프로이트는 트라우마가 위험상황에 대비하게 하는 불안의 부재로 인해 발생했다고 파악하고 외상꿈을 불안을 갖추고 외상 상황으로 회귀해 트라우마를 통제하려는 반복적 시도로 해석한다. 불안의 치료효과에 대한 그의 암시는자아의 강화에 의한 치료의 논의로 발전한다. 트라우마 치료의 맥락에서 자아의 강화는 경제적인 의미에서 트라우마를 야기한 과도한 자극을 통제하고 구속하는 능력의 향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자아가 위험뿐 아니라 회복에도방어할 수 있으며 회복에 대한 저항의 근원에서 죽음욕동을 발견하고 치유의 점근선적 과정과 미완성을 전망한다. 트라우마에 대한 프로이트의 사유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제시한다. 첫째, 자아의 강화에 대한 주장은 􋺷과학적 심리학 초고􋺸에서 불쾌의 원인을 자아 억제력의부재에서 찾았던 그의 초기이론과 일맥상통하며, 이는 장기간에 걸친 프로이트의트라우마 이론에서 연속성을 보여준다. 둘째, 극복작업에 대한 강조는 회복의 과정에 필요한 주체의 능동적인 역할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이는 비의식적 신체를 강조하는 신경과학적 트라우마 이론에서 주체의 능동성을 간과하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제공한다. 셋째, 극복작업은 사회적 트라우마에 관한 역사적 서사의 장에서 지속적으로 개인적 상처의 진실을 기록하는 열린 치유과정의 개념으로 확장되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분석가와 환자의 협업에 대한 프로이트의 논의는 공감적 청자가 외상적 주체의 증언에 대한 증인이 되는 “사회적 공간”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이트가 회복에 대한 자아의 저항에서 발견하는죽음욕동은 자아에게 가장 궁극적인 위험인 죽음 즉 인간 주체가 트라우마 경험에서 대면하는 사멸성을 환기한다. 외상신경증에 대한 프로이트의 사유는 그가 정신적 상처를 탐구하며 이룬 트라우마 발생과 치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증언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ims to weave together Freud’s seemingly disparate discussions of the causes of and cures for trauma and attempts to unravel the significance of his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trauma. Investigating the aetiology of hysteria, Freud discovers trauma, characterizing it as a psychic wound that persistently impacts the structure of the mind and explains the cure as the recovery of forgotten memory—along with the abreaction of the affect attached to it. Freud’s theoretical shift from “dissociation” to “repression” makes him underscore the idea of “working-through” as a pivotal part of psychoanalytic therapy, one that enables the subject to come to terms with repressed memory. War neuroses brought the concept of the repetition compulsion to his notice, leading him to develop the theory of the death drive, and he defines trauma as the ego’s defense against both endo- and exo-psychic dangers. He interprets the traumatic dream as a repeated attempt to master the traumatic situation with anxiety—a signal that prepares the subject for danger—the absence of which triggers traumatic neurosis. Later, this idea evolves into his suggestion that strengthening the patient’s ego empowers him to master the trauma that had previously overpowered him. Observing, however, that the ego defends itself against the process of recovery, just as it does against the threat of dangers, Freud uncovers the death drive underneath this resistance to recovery and envisages the asymptotic and incomplete process of the cure. Freud’s engagement with the issue of trauma presents several important points. The idea of strengthening the ego for therapeutic purposes echoes his early view of unpleasure as resulting from the ego’s lack of inhibition in the Project of Scientific Psychology, thus providing a thread of consistency in the seemingly discontinuous trajectory of his trauma theory. His emphasis on working-throug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s active role in recovery, which may be disregarded in neuroscientific trauma studies. In historiography, the concept of working-through connotes the therapeutic process of persistently witnessing the truth of wounded individuals without closure. Freud’s account of the cooperation of the analyst and the patient may serve as a model for the “social space” in which a sympathetic listener bears witness to the testimony of the traumatized subject. Finally, the death drive that Freud excavates beneath the ego’s resistance to recovery evokes the concept of death as the ultimate danger to the ego, the mortality that the subject encounters in the course of his traumatic experience. Freud’s reflections on traumatic neurosis testify to his unflinching commitment to discerning the mechanisms and cures of trauma in the process of probing the psychic wounds of his patients.

목차

I. 서론
II. 트라우마의 메커니즘: 기억과 정동, 분리와 억압
III. 트라우마 원인의 경계: 전쟁신경증, 반복강박, 죽음욕동
IV. 치유의 과정: 행동화, 극복작업, 불안
V. 치유의 공간과 방법: 분석가와 환자, 자아의 강화
VI. 결론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정신적 상처의 원인과 치유의 탐구. 비평과 이론, 27 (2), 87-119

MLA

. "정신적 상처의 원인과 치유의 탐구." 비평과 이론, 27.2(2022): 87-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