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동이미지의 문화적 출현

이용수 166

영문명
Cultural Emergence of Affective Images: Montage of Indifferent Faces and Still Movements in Media Arts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 27권 2호, 63~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어떤 시점에 등장한 정동이미지의특성을 동시대를 대표하는 영화예술의 구성과 겹쳐봄으로써 영화의 구성을 탈시각적으로 탐색해보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특히 정동이미지와 영화가 공유하는 무표정한 얼굴과 분절된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서사영화에서 쉽게 간과되는 과잉이미지들의 물성을 재고하기 위함이었다. 기존 영화연구가 인접예술 중에서는 문학이나 연극과의 비교를 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좀 더 신체 중심 예술의감각들인 리듬성, 그리고 포즈의 조형성 등에 주목하여, 영화의 의미구성에 가장중요한 역할을 하는 몽타주가 어떻게 새로운 사유방법이자 동시에 지각 방식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몽타주 연구가 의미구성을 위한 최적의 구조로서 그 재료인 이미지와 움직임을 수용하였다면, 본 연구는 의미화가 실패하는 지점에서의 형상과 그 감각적 경험에 집중하였다. 종합하면 이글의 논의는 영화의미의구성과 경험을 투명성을 추구하는 시각담론의 연장선에서가 아니라, 촉각성, 반응성, 상호작용성 등이 함께 작용하는 다중감각으로 확장 이해하기 위한 시발점으로서 유의미하다. 이 연구는 앞으로 영화라는 매체예술과 표현도구로서 신체를 갖는타예술과의 접점을 본격적으로 탐색하는 후속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overlap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ective image that appeared at the turn of the century around 1900 with the composition of film art.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expressionless face and still movements as share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ffective image and the elements of montage. While the existing film studies have often compared film mainly with literature and occasionally with theater among adjacent arts, this study focuses more on body-centered arts, such as dance and sculpture, which deal with senses of rhythm and formative gestures. Along the line, I try to suggest how montage is a new way of perception rather than thought, which, in turn, is to reconsid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cessive images that are easily overlooked in the analysis of cinematic structure of meaning. Furthermore, introducing the sense of touch is an attempt to expand and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experience of film meaning, differentiated from the mainstream discourses centering on the visuality and transparency. Tactile acceptance now attracts attention as a synaesthetic element that can be discussed along with visuality. Such discussion may explain various arts of alternative perception of today that are experienced in a distracted way through dispersed media and platforms. This study can be one starting point to explore in earnes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lm/media art and other arts that use the body as a means of expression.

목차

I. 들어가며
II. 증상의 전시
III. 영화와 정신분석의 등장
IV. 무관심한 얼굴과 분절된 몸짓의 몽타주
V. 과잉(잉여)과 촉각성
VI. 맺음말: 꿈꾸는 몸의 시험관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정동이미지의 문화적 출현. 비평과 이론, 27 (2), 63-85

MLA

. "정동이미지의 문화적 출현." 비평과 이론, 27.2(2022): 6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