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소설에 나타난 ‘춘천’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Chuncheon’ in Sinsosoel(新小說) from a Literary Geographical Perspective -focusing on and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1권 2호,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신소설 <귀의성(鬼의聲)>과 <소양정(昭陽亭)>에 나타난 ‘춘천’의 형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두 소설에는 춘천이 문학적 공간으로서 비중 있게 그려진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 작품들에 나타나는 춘천이라는 공간에 주목한 논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 속 소설적 공간으로서의 춘천이 실제 지리적 공간과 어떤 관계 양상을 보여주는지를고찰해 보았다. 춘천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서쪽으로는 강과 호수가 관통하여 흐르고 있는 도시이다. 북한강, 소양강, 공지천 등이 합류하는 하류 지점에는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강의 수평적인 움직임과 산의 수직적인 경계가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복합적인 공간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춘천의 이러한 복합적인 지리적 특성은 <귀의성>과 <소양정>에 문학적 공간으로 형상화된 ‘춘천’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귀의성>과 <소양정>은 춘천이라는 공간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작품이면서 동시에 춘천에 대해 서로 다른 이미지를 부여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두 작품을 같이 볼 때 춘천이라는 공간이 지니는 문학적인 의미가 더 잘 드러난다. 소설 속에서 춘천은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를 함께 지니고 있고, 상경과 회귀의경유지이자 기착지, 출발점이자 도착점으로서 성격이 중첩되어 있는 곳으로서의공간적 정체성을 갖는다. 또한 춘천은 전근대적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질서와 이데올로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공간이지만 근대적 관점에서 보면 하강의 깊이를획득한, 존재론적 성찰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ages and meanings of ‘Chuncheon’ shown in and in the literary-geographical perspective. In those two novels, Chuncheon is importantly described as a literary space. So far, however, there have been no discussions that pay attention to a space, Chuncheon shown in those works. Thus, this study considered what kind of relation would Chuncheon as a space in those two novel works show with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 Chuncheon is a city that is surrounded by mountains on all sides, and a river and lake are passing through this city in its west side. There is a eroded basin at the downstream confluence of the Bukhangang River, the Soyanggang River, and the Gongjicheon Stream. The river's horizontal movements and the mountain's vertical boundary creates a complex spatial image by dividing the space. Chuncheon's complicated ge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this are closely connected to 'Chuncheon' that was embodied as the literary space in and . The works and are not only importantly highlighting the space, Chuncheon, but also reminding of different images of Chuncheon. Therefore, the literary meaning of Chuncheon as a space is revealed better when those two works are examined together. In novels, Chuncheon has the images of rise and fall at the same time, and also has the spatial identity as a place with the overlapped nature of stopover for going to Seoul and returning, departure, and destination. And Chuncheon is the space with the existing order and ideology as it is from the pre-modern viewpoint, but it is also the space with the possibility of ontologistic introspection that obtained the depth of the descent from the modern viewpoint.

목차

Ⅰ. 서론
Ⅱ. <귀의성>에 나타난 ‘Ⅲ. <소양정>에 나타난 ‘춘천’
Ⅲ. <소양정>에 나타난 ‘춘천’
Ⅳ. 신소설 속 ‘춘천’의 문학지리학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신소설에 나타난 ‘춘천’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1 (2), 5-33

MLA

. "신소설에 나타난 ‘춘천’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1.2(2022):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