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평으로서의영화, 영화적주석(註釋)으로서의메타시네마

이용수 31

영문명
Film as Critique, Metacinema as Cinematic Commentary -Read Seongil Jeong's and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제53집, 95~1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문학 매체의 변용과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에서 구상되었다. 비평이라는 전통적 글쓰기의 형식이 영화라는 시각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임권택과 그의 영화세계를 다룬 정성일의 다큐멘터리 <녹차의 중력>과 <백 두 번째 구름>이다. 이 영화들을 ‘메타시네마’의 개념을 통해 필름으로 구현한 비평(임권택론)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구해보았다. 정성일은 비평가로 활동하며 영화를 직접 연출한 감독이다. 그러나 그는무엇보다 영화에 대한 진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왔던 ‘시네필’이다. 그래서 그가 쓴 비평과 그가 연출한 영화에는 시네필의 ‘자의식’이 강렬하게 표출되어 있다. 정성일은 영화를 사랑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 그 영화(대상텍스트)가 제기하는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에게 영화의 존재론에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 것이 임권택이라고 했다. 정성일은 임권택에 대한 작가론 단행본을 기획하였고, 방대한 분량의 인터뷰와 비평작업을 수행하였고, 마침내 영화라는 형식 그 자체로써 임권택의 영화가 제기하는 질문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정성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비평작업은 ‘자기 반영성’의 영화에 대한 고다르의 심오한 작업들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그에게서 영화는 단지 여러 예술 장르 중의 하나가 아니다. 정성일에게 영화는어떤 존재론적 ‘물음’을 통해서 자기를 확인하는 실존적인 자기 증명의 매개체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성일에게 고다르와 임권택은 그와 마찬가지로 강렬한 영화사랑을 바탕으로 실존적 자기 확인을 실천한 선배이자 선생이었다. 여기서 다룬 두 편의 영화 <녹차의 중력>과 <백두 번째 구름>은 메타시네마적 성찰이라는 고다르적 방법을 통해서 임권택의 영화 현장에서 얻어낸 존재론적 질문과 그 해답의 천착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그것을 시대사의 흐름이라는 통시적인 관점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실존적 성찰이라는 공시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비평적 ‘성찰’을 공부(工夫)와 교양(敎養)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배움과 깨달음의 학교로서의 ‘현장’에 대한 정성일의 뚜렷한 자의식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것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두 텍스트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 정성일이 필름을통해서 수행한 비평으로서의 메타시네마적 특성과 의미가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영화라는 매체이지만 활자를 적극 활용한다든가, 인쇄 매체로 출간된텍스트를 즐겨 인용하는 특징들이 드러난다. 그리고 연출의 현장을 엄밀하게관찰함으로써 도출하는 영화에 대한 앎과 깨우침의 과정을 주관적인 감수성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메타시네마로서의 비평은 정성일이 글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표현할 수 없었던 ‘현장’의 생생함을 자기의 주관적 감성으로써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was submitted as one of the planned topics of 'Transformation of Literary Media and Storytelling'. The aspect of how the form of writing called criticism is realiz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reviewed. The subject of review is and , a documentary by Jeong Seong-il, which deals with Im Kwon-taek and his film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meta cinema', these films were analyzed as a critique and their meaning was explored. It is presumed that the critical work performed by Jeong Seong-il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greatly influenced by Godard's profound works on films of 'self-reflection'. As two teachers and pioneers who awakened Jung Sung-il to the most intense awareness of the ontology of cinema, we examine his influence on Godard and Im Kwon-taek. This thesis confirms Jung Sung-il's clear self-consciousness about the 'field' as a film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kung fu (工夫) and culture (敎養).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two texts dealt with in this paper was reviewed. In this part, the meta-cinema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 critique performed by Jung Sung-il through film were intensively discussed. Although it is a medium of film,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ly using type and quoting texts published in print media are reveal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knowing and awakening about the film derived by strictly observing the production site is expressed with subjective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itique as a meta-cinema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and expressing the vividness of the 'fiel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writing through his subjective emotions.

목차

1. 머리말
2. 자기 반영으로서의 영화와 비평으로서의 창작
3. 현장비평의 영화적 실천: <녹차의 중력>과 <백두번째 구름>
4.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비평으로서의영화, 영화적주석(註釋)으로서의메타시네마. 동남어문논집, (), 95-122

MLA

. "비평으로서의영화, 영화적주석(註釋)으로서의메타시네마." 동남어문논집, (2022): 95-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