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아 박용철 시조의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

이용수 59

영문명
The creation background of sijo and poetic orientation of Yong-A, Park Yong-cheol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제53집, 61~9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용아 박용철은 시문학파의 결성과 활동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중요한 인물이다. 따라서 박용철에 대한 논의는 근대시인 또는 순수시론의영역에 집중하여 조명되어왔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은 근대시인으로서의 박용철의 면모를 드러내고 심화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박용철 연구의 확장성을 억제하고 논의의 범위를 축소하는 한계도 지니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용철이 근대시인이면서 시조시인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으며, 시조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박용철 시조의 전체적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도박용철이 시조를 창작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는 있었지만, 작품의 전체 분량과 수록처 등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박용철이 시조를습작 차원에서 창작했다는 선입견이 형성되었다. 본고의 논의 결과 박용철이창작한 시조는 95수 가량인데 그의 창작 자유시가 70편 내외라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박용철의 시조 창작은 의도적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박용철이 시조를 창작한 배경은 연희전문에서 수학하던 시절 위당 정인보와의 인연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서 부인 임정희와 연애하던 시기에주고받았던 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편지의 내용을 참고하면, 박용철이 시조를 창작한 직접적인 요인은 개인의 주관적 감정 표출을 위해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박용철이 시를 창작할 때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었던것으로 자유시를 창작할 때도 적용되던 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박용철은 시조를 노래가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담아내는 시의 한 양식으로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박용철은 시조와 자유시를 창작할 때 개인의 주관적 감정을 표출하는 데방점을 두고 있었다. 그렇다면 박용철의 시조와 자유시가 변별되는 가장 큰기준점은 무엇일까. 그 기준점은 바로 개인 체험에 기반한 창작이라는 것이다. 박용철의 시조에는 직접 체험했던 일화가 제시되어 있다. 이 체험은 부인임정희, 친우 염형우와 윤심덕, 숙부, 본인, 태어날 아기 등 구체적인 시적 대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이는 박용철의 자유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지점이다. 즉, 박용철은 자신이 체험했던 바에서 느꼈던 감정을 표출하는 양식으로 시조를 선호했음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서 박용철 연구의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박용철시조 연구를 위한 디딤돌을 놓았다는 점에서 일정한 기여를 했으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Yong-A Park Yong-cheol is an important figure who exerted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Poet and Literature School. Therefore, the discussion of Park Yong-cheol has been focused on the realm of modern poets or pure poetry. Previous studies with this trend played a certain role in revealing and deepening the aspect of Park Yong-cheol as a modern poet.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also had limitations that inhibit the scalability of the study on Park Yong-cheol's and narrow the scope of discussion. In this study,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Park Yong-cheol was a modern poet as well as a sijo poet, and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sijo creation and his poetic orientation. To discuss this, the author first looked at the overall status of Park Yong-cheol’s sijo. Although the previous studies recognized that Park Yong-cheol created sijo, the total volume of the work and their recording location were not organized. Due to this, the prejudice that Park Yong-cheol created sijo as a study was form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Park Yong-cheol created about 95 sijos, but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his creative free poems is around 70, it can be inferred that Park Yong-cheol's sijo creations were intentional. Park Yong-cheol's background in creating sijo can be attributed to his relationship with Widang Jeong In-bo when he was studying at Yeonhui University. In addition to thi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letters sent and received while dating her wife, Lim Jeong-hee.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se letters,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 factor in Park Yong-cheol's creation of sijo was that they were created to express his subjective feelings. This was basically what Park Yong-cheol had when he wrote poetry, and it was also applied when he created free poet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Park Yong-cheol recognized sijo not as a song, but as a style of poetry expressing his emotions. Park Yong-cheol focused on expressing individual subjective feelings when creating sijo and free poetry. Then, what is the biggest reference point that distinguishes Park Yong-cheol's sijo from free poetry? The reference point is that creation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Park Yong-cheol's sijo presents an anecdote that he experienced by himself. This experience is closely related to specific poetic subjects such as his wife, Lim Jeong-hee, his close friends, Yeom Hyeong-woo and Yoon Shim-deok, his uncle, himself, and the baby to be born. This is a rare point to find in Park Yong-cheol's free poetry. In other words, it is conceivable that Park Yong-cheol preferred sijo as a form of expressing the emotions he felt in his experiences.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author thinks that this study made a certain contribution to studying Park Yong-cheol’s sijo, in that it expanded the field of Park Yong-cheol study and laid a stepping stone for studying Park Yong-cheol’s sijo

목차

1. 머리말
2. 시조 현황
3. 개인의 주관적 감정 표출을 위한 통로로서의 시조
4. 개인 체험에 기반한 시조 창작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용아 박용철 시조의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 동남어문논집, (), 61-93

MLA

. "용아 박용철 시조의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 동남어문논집, (2022): 6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