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시 영장 범죄사실과 ‘관련성 있는’ 증거 해석 기준과 무관 증거 발견 시 증거 확보 방법

이용수 67

영문명
Criteria for ‘related’ crime when seizing and searching digital evidence
발행기관
한국형사판례연구회
저자명
김영미(Kim Young Mi)
간행물 정보
『형사판례연구』형사판례연구 제28권, 287~348쪽, 전체 6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10,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day it is the time of digital evidence. Most of people can use computer, mobile and so on. And they can produce a lot of information. So whether investigation agency can search and secure digital evidence properly depends on the success of investigation. If some investigation agency wants to know whether some digital data has the relevancy with the case, she has to click the file and read the content. Because of these properties of digital evidence, most of digital evidence is the object of ‘plain view’. Digital data consists of criminal evidence(relevancy with the case) and etc data. If law enforcement agency interpretates criminal fact on warrant very narrowly(restrict raw-language), she may not arrive the truth of the case. The purpose of search and seizure is to secure evidence. After search and seizure, the suspicion is embodied. The fundamental reason for specifying a warrant is to prevent abuse of compulsory disposition. There is no such concern if the underlying(basic) facts are the same as the facts of warrant crimes. If another crime(not relevancy with the case) is found separately, the court must control it as another warrant. The court can control the evidence in court. Digital storage devices can hold an enormous quantity of data. Because of the properties of digital evidenc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may become a general warrant. But it is no different from seizure of property if the underlying facts are the same as the facts of warrant crimes. Besides digital evidence can easily be concealed, destroyed. So it has to be interpretated basic crime more flexible. And it should be introduced urgent search and seizure not to destroy evidence.

목차

[대상 판결]
Ⅰ. 문제의 제기
Ⅱ. 무관 증거의 해석 기준과 무관 증거 발견시 증거 확보 방법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미(Kim Young Mi). (2020).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시 영장 범죄사실과 ‘관련성 있는’ 증거 해석 기준과 무관 증거 발견 시 증거 확보 방법. 형사판례연구, 28 (1), 287-348

MLA

김영미(Kim Young Mi).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시 영장 범죄사실과 ‘관련성 있는’ 증거 해석 기준과 무관 증거 발견 시 증거 확보 방법." 형사판례연구, 28.1(2020): 287-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