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서기(日本書紀)의 백제인식(百濟認識)과 번국사상(蕃國思想)

이용수 75

영문명
Baekje recognition and savage contry ideology in the Nihonshoki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연민수(Min Soo Yeon)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59집, 115~13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5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서기』의 백제인식은 문물의 수용과 군사적 파병이라는 교류 속에서 나타난다. 일본의 백제에 대한 내관가사상의 배경에는 군사적 파병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있었고, 이것은 영토할양이라는 허구의 관념과 문물의 수용을 조공의 개념으로 만들었다. 이후 백제 멸망이라는 사태에 직면하여 백제부흥군의 수장으로서의 풍장의 즉위와 파병, 부흥전쟁의 실패, 백제유민들의 망명이라는 왜왕권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정치적 질서, 이념을 정립해 간다. 일본국의 왕통의 신성성을 강조하고 율령을 제정하여 초법적인 존재로서의 천황의 지위를 규정하고, 대외적인 이념으로서 소중화 의식을 발현시켰다. 백제에 대한 번국사상은 이러한 이념 속에서 나왔다. 백제의 부흥군의 수장을 인질과 책립으로 윤색하였고, 백제로부터의 문물의 수용을 조공의 개념으로 바꾸었고, 파병 사건은 천황의 내관가인 백제구원전쟁으로 규정하였다. 백제유민에 관인화의 과정을 통해 백제지배층을 일본국 지배질서 내에 흡수하였고, 선광에게「백제왕」성을 사여하여 왜왕권의 신하로서 자리매김하였다. 이것은 현실의 망국 백제가 과거에 투사되어 일본의 보호를 받는 번국으로 재생된 것이다. 백제에 대한 번국사상은 한반도에서 새롭게 등장한 신라에 대한 적대의식, 대항의식의 발로이기도 하다.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에 대한 적시관은 신라극복이라는 현실과 미래의 기대상 속에서 점차 신라=번국이라는 새로운 이념을 창출하게 된다.

영문 초록

Recognition of Baekje in the Nihonshoki appears in the exchange of military aid and cultural acceptance. Japanese royal authority had established a new political ideology in the crisis such as the accession and the dispatch of Pungjang as the head of the troop, the revival war failed and Baekje the refugees asylum on the verge of destruction of Baekje age. Japan, country of the emperor reign, had emphasized the sacredness and defined the status of the emperor above the law and express the small sinocentrism as the external ideology. Pungjang, the head of revival troop in Baekje, Japan had taken him as hostage, exchage the civilization acceptance to tribute and the dispatch of the event of Korean troop was defined as Baekje revival war of a tributary state of the emperor reign. After the fall of Baekje, Japan absorbed them in the emperor`s officials, and gave SunGwang, prince of Baekje, surname Baekje king and made him servant of Japanese. Savage country of Backje was from this ideology. The present Backje was reflected to the past and was played as savage contry under Japaness.

목차

Ⅰ. 머리말
Ⅱ. 神功紀와 蕃國觀念의 투영
Ⅲ. 영토할양기사와 內官家 사상
Ⅳ.‘派兵사건’과「貢」,「調」인식
Ⅴ. 人質論과「百濟王冊立」문제
Ⅵ.「百濟王」姓과 小中華主義의 생성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민수(Min Soo Yeon). (2014).일본서기(日本書紀)의 백제인식(百濟認識)과 번국사상(蕃國思想). 백제연구, 59 (1), 115-137

MLA

연민수(Min Soo Yeon). "일본서기(日本書紀)의 백제인식(百濟認識)과 번국사상(蕃國思想)." 백제연구, 59.1(2014): 115-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