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와 북미관계의 탈동조화
이용수 438
- 영문명
- Decoupling of ROK-US relations and US-DPRK relations in the Biden Administration – Focusing o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Economic Security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민정훈(Jeonghun Min) 정한범(Hanbeom Jeong)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40집 제1호, 21~4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바이든 행정부 임기 초반 동북아 안보 상황을 미중 전략적 경쟁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트럼프 집권기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초기 한미 협력은 급속히 강화되는 반면 북미 관계는 교착 상태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바이든 행정부가 동북아 정책에 있어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한반도 문제를 지역 정책의 틀 안에서 유기적으로 다루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아울러, 현재 기술혁명의 시대에 안보의 중심축이 기존의 정치군사 분야에서 경제기술 분야로 이동한 것이 핵과 미사일을 중심으로 한 북한 문제보다는 기술패권과 공급망 확보를 우선시하는 경제문제에 집중하도록 만든 측면이 있다고 본다. 바이든 행정부는 21세기 미국의 핵심적 이익이 존재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리더십 복원을 대외정책의 목표로 설정하고 역내 주요 동맹 및 파트너와의 협력을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고 미국의 역내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정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동맹 및 파트너들의 결집을 통한 대(對)중국 견제에 집중함에 따라 임기 초반 역내 핵심 동맹인 한국과의 협력은 강화되는 반면 중국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바탕이 되는 북한과의 관계 개선 문제는 교착 상태가 유지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st Asia s security under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context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s the Biden administration increases the level of pressure on China in its early term in office, the ROK-US cooperation has intensified and the stalemate in US-DPRK relations continu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Biden administration prioritizes strategic competition with China in its Northeast Asia policy and seeks to systematically deal with the Korean Peninsula issu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egional policy. The goal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s to restore US global leadership and it has been working hard to enhance cooperation with its key allies and partners to check the rise of China and maintain American leadership in the Indo-Pacific region, where America s core interests in the 21st century exist. As the Biden administration puts its priority on checking the rise of China through cooperation with its regional allies and partners, its relations with South Korea, a key regional ally, have been strengthened in its early term in office while its relations with North Korea have not shown meaningful progress.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미국의 국가안보 전략과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Ⅲ.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한반도 정책의 양상
Ⅳ. 대(對)중국 견제와 경제안보 중심의 대외정책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변화하는 세계질서 속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미・중의 경쟁적 접근을 중심으로
- 일국사회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마르크스레닌주의 종교이론의 소련지역 토착화과정 연구 : 종교인식과 제반정책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초기 멕시코 ‘에네켄’ 한인 이민자 후손들의 민족적 정체성 고찰: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글교육과 민족적 정체성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