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삶의 전환과 학습

이용수 357

영문명
Life Transformation and Learning: A Longitudinal Case Study on Single Mothers, Focusing on the Space and Time of their Lives, and Changes in their Learning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양은아(Yang, Euna)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8권 제1호, 27~6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혼모로서 ‘아이 출산과 양육’이라는 삶의 경계가 명확한 위기 국면을 전환해나가는 과정에서 인문학 학습 (공동체) 경험이 연계되고 이행되는 주요 국면과, 이에 따른 삶의 공간과 시간, 학습 경험의 ‘변화’와 ‘지속’의 맥락에 대한 종단적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는 역설적 구조를 통한 (공동)존재의 탐구와 확장과정으로 드러났으며, 주요 국면은 세 단계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자기은폐’ 단계로서, 세상으로부터 도피해 몸을 의탁한 보호시설에서 출산 이후의 자립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학습이 불러온 파동은 ‘역설’의 효과로서 드러난다. 한순간 뒤바뀐 삶과 현실이 불러일으킨 나로부터 떨어져나간 ‘없음’에 대한 자각이다. 그 ‘없음’은 역설적으로 이들이 처한 현실 곳곳에 존재해야 할 그 무엇을 지시하고, 학습의 자극이 개입한 ‘부정’과 ‘부재’의 자각은 역설적으로 ‘있음’에 대한 욕망을 일깨웠다. 두 번째 단계는 ‘자기보존’ 단계로서, 시설에서 퇴소해 독립을 시작하고 정착을 일구어나가는 시기이다. 아이 엄마로서의 삶을 시작한 이들에게 모든 관계가 차단된 은폐된 삶에서의 생존은 그 누구보다도 관계를 요청했다. 관계의 단절은 역설적으로 학습을 매개로 한 관계의 회복을 낳았다. 미혼모로서 선택한 삶은 한편으로 삶의 해체였지만, 이는 또 하나의 삶이었다. 세 번째 단계는 ‘자기확장’ 단계로서, 최소한의 자립기반을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삶의 구조를 이루는 미래적 가능성에 주목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학습 모임은 처음 결성되었던 당시 활동을 ‘지속’하며 조금씩 외부로 개방하기 시작했고, 개인 자립에 전력하던 구도에서 미혼모에 대한 권익과 사회적 인식변화 도모에 조금씩 참여하는 것으로, 일방적 도움·지원을 받는 대상과 위치에서 함께 연대하고 조력하는 위치로 성장해갔다. 학습모임이 지속되면서 인간의 ‘자기보존’은 필연적으로 타자와의 상호성에 의존해 있음을 체현하고 점차적으로 ‘자기확장’을 도모해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핵심 결과를 통해 평생학습 맥락에서 사회적 약자 집단이 경험하는 인문학 학습의 확장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single mothers as they undergo major phases, in which their humanities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shifting from a crisis phase, in which the boundary of the life of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as a single mother is clear. Thus, it conducts a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pace and time of their lives and the context of a change in and continuity of learning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prove in its results that the single mothers’ lives will reveal a process of exploration and expansion of (common) existence through a paradoxical structure, while the main phases will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the ‘self-hiding’ stage is a period of preparing for self-reliance after childbirth in a shelter where they have settled after escaping from the world. The wave brought about by learning during this period is revealed as the effect of the ‘paradox.’ It is the awareness of the nothingness that separate them from the world, brought about by life and reality that changed in an instant. The ‘non-existence’ paradoxically indicates what should exist in the reality they are facing, and the awareness of ‘negation’ and ‘absence,’ in which the stimulation of learning intervened, paradoxically awakening their desire for ‘existence.’ Second, the ‘self-preservation’ stage is the period in which single mothers ar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to begin an independent life and establish a settlement. For those who started life as mothers of children, survival in a secluded life, where all relationships were blocked, paradoxically called for a relationship more than anyone else. The severance of the relationship paradoxically led to the restoration of a relationship through learning. The life chosen as a single mother was, on the one hand, a disintegration of her life, but it was also another life. Third, ‘self-expansion’ is a period to secure a minimum foundation for self-reliance and to pay attention to the future possibility of forming a sustainable structure of life. During this period, the learning group started to open up gradually, while continuing its activities at the time it was first formed, and participated by promo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single mothers and by changing social perceptions in the structure that was focused on individual independence. It has grown from being one-sided and receiving support to a position of solidarity and support. As the existence of the humanities joint study group continues, they realize that human self-preservation inevitably depends on reciprocity with others, and gradually pursue self-expansion.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scuss the extended meaning of humanities learning as experienced by socially underprivileged groups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자기은폐: 미혼모의 타자화와 모성의 부정
Ⅴ. 자기보존: 사회적 편견과 모성 이데올로기의 대응
Ⅵ. 자기확장: 공-현존적 삶과 지속가능한 구조
Ⅶ. 논의 및 결론: 역설적 구조를 통한 (공동)존재의 탐구와 확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아(Yang, Euna). (2022).삶의 전환과 학습. 평생교육학연구, 28 (1), 27-65

MLA

양은아(Yang, Euna). "삶의 전환과 학습." 평생교육학연구, 28.1(2022): 2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