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수동화 법제 추진을 위한 선결 과제의 고찰

이용수 55

영문명
A study on the prerequistiese for the passive duty of disclosure
발행기관
한국보험법학회
저자명
조경원(Cho, Kyung Won)
간행물 정보
『보험법연구』제16권 제1호, 3~3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보험계약 체결 시 보험자와 보험소비자간 정보 비대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험계약 체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을 보험소비자에게 고지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다수의 보험선진국에서는 보험자의 질문에 대해 수동적으로 응답하기만 하면 보험소비자가 고지의무를 모두 이행하였다고 보는 고지의무 수동화가 법제화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보험회사에서 질문한 사항 이외에도 보험회사의 입장에서 볼 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보험소비자에게 추가로 고지하도록 하여 소비자 보호에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중요한 사항의 판단은 보험회사의 입장인 것은 분명하지만 어떤 것이 중요한 사항인지에 대해서는 다툼의 여지가 존재한다. 다수의 보험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지의무 수동화의 취지는 보험자에 비해 보험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보험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나, 보험자의 질문이 과도하게 많아 도리어 보험소비자 보호에 미흡하고 이로 인한 분쟁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고지의무 수동화로 법제화 된다면 다수의 보험선진국의 사례와 같이 보험자의 면책용 질문이 현재 보다 많아 질 개연성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보험소비자 보호라는 취지를 살려 고지의무 수동화로 전환하기 위한 선결과제로 현재 실시하고 있는 보험약관이해도평가를 참고하여 적정 질문 문항수와 구성 등을 보험회사의 자율사항으로 맡겨 두는 것이 아니라 외부평가기관을 선정하여 질문표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되, 평가는 보험전문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이해도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보험소비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한 고지의무 수동화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제도적인 틀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insurance industry has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nterconnects our digital and real worlds. Advances in big data have cleared the path for insurers to acquire the material information of the insured. New methods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customers cause a need to reevaluat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of both parties. It is now time to review the obligation to an “active” duty of disclosure, that the insured must notify the insurer of material information when signing an insurance contract. Insurance companies are obliged to inform insured of the material information they want to know in order to decide whether to sign an insurance contract. Of course, in the subscription form, the insurance company is required to answer a questionnaire prepared in advance, but in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question is not confirmed as an important fact, it is only presumed to be an important fact. If the insurance company claims that the material information has not been disclosed, the insured is in an unreasonable situation to claim that the material information are not important for insurance contract. A passive duty of disclosure implies that the insurer will have to define what information is material through a questionnaire. A passive duty of disclosure implies that information not asked for, is not material. Currently, Korea s trending toward a passive duty of disclosure. Major countries such as France (1989), Germany (2007), Japan (2008), China (2009), and the UK (2012) have revised their legislation to passive duty of disclosure. The format of the question should b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 should be concrete and not vague. Do not intend to indemnify the insurer by inducing the insured to notify the insolvency through ambiguous questions. Second, the number of questions should not significantly exceed the current numbers of questions. If the number of questions is excessive such as the United Kingdom or Australia, it puts an excessive burden on insurance consumers, and there is a risk of insufficient consumer protection. Third, a standardized question forma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types and products is required. At present, the standard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three types, should be used in a standardized form suitable for the fields such as health insurance, property insurance, animal insurance and liability insurance etc. by adding question item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rance product. Fourth,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naire. You can test the questionnaire with general consumers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overly abstract or difficult terms, the scope of questions, and the number of appropriate questions. It is important that the consumer perspectiv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at changes in the questionnaire are made promptly based on this feedback. Insurers are able to acquire more customer information than ever due to big data analytics. The opening of this door introduces then importance of developing comprehensive and clear passive duty of disclosure for insureds.

목차

Ⅰ. 서설
Ⅱ. 보험소비자 보호 관점에서의 현행 고지제도의 문제점
Ⅲ. 고지의무 수동화 관련 국내 입법 및 정책동향
Ⅳ. 외국의 입법 동향
Ⅴ. 고지의무 수동화의법제화추진과 선결과제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경원(Cho, Kyung Won). (2022).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수동화 법제 추진을 위한 선결 과제의 고찰. 보험법연구, 16 (1), 3-39

MLA

조경원(Cho, Kyung Won). "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수동화 법제 추진을 위한 선결 과제의 고찰." 보험법연구, 16.1(2022): 3-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