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退溪學派 아동 교재의 수용과 활용 양상

이용수 0

영문명
Trend of Acceptance and Facilitation of Materials to Teach Children by Toegoe School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崔植(Choi, Si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3호, 197~24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朱熹의 『童蒙須知』를 필두로, 屠羲英의 『鄕校禮輯』의 유입과 간행을 비롯하여 金誠一의 『童子禮』와 鄭經世의 『養正篇』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아동교재를 추적하였다. 『동몽수지』는 주희의 다른 글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필사․간행되었던 바, 『동몽선습』과 『격몽요결』이 널리 유행하여 각광을 받은 이후로도 아동교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동몽수지』는 일상생활에서 실천을 중시하는 향교 학령이나 향약 등의 조약 및 가숙 학규에 널리 수용된다. 특히, 盧守愼은 『性理字訓』과 『동몽수지』에 註解하는데, 문자교육과 덕성교육을 아우르는 의도이다. 도희영이 1567년 간행한 『향교예집』은 1577년 김성일에 의해서 조선에 전해진다. 김성일은 귀국 후 『향교예집』의 간행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1586년 나주에서 목판본을 간행한다. 『향교예집』과 『동자례』는 퇴계학파에 널리 수용되어, 김성일 뿐 아니라 柳成龍과 權好文도 『동자례』를 발췌하여 학도를 가르치는 교재로 활용한다. 정경세의 『양정편』은 『동자례』를 산삭한 저술이지만, 『동자례』에 버금가는 위상을 차지하며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널리 활용된다. 『향교예집』의 『동자례』와 『거향잡의』는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널리 수용되어, 김성일은 『동자례』로 편집하고, 정경세는 산삭하여 『양정편』으로 재차 편집한다. 따라서 『동자례』와 『양정편』은 退溪學派 아동교재의 수용과 활용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traced down the teaching material for children of the Joseon Dynasty from 『Dongmong-suji』 of Joo Hee to inflow and publication of 『Hyang『gyoyejip』 of Do Hee-young up to 『Dongjaeye』 of Kim Seong-il and 『Yang『jeongpyeon』 of Jeong Gyeong-se. 『Dongmong-suji』 had been copied and published in various types together with other articles of Joo Hee that, after gaining significant popularity of 『Dongmongseopseup』 and 『Gyeokmongyo『gyeol』. it had the role of teaching material for children since then. Furthermore, 『Dongmong-suji』 had been broadly accommodated on academic regulation of local schools, treaties and academic regulations for living quarters for local schools and others where the practice in ordinary living was critical value in the community. In particular, Ro Su-sin made the commented on 『Sungrijahoon』 and 『Dongmong-suji』 and he intended to embrace the letter education and virtuous deed education. 『Hyanggyoyejip』 that Do Hee-young published in 1567 was handed down to Joseon by Kim Seong-il in 1577. After returning to his home country, Kim Seong-il provided his unyielding effort in publication of 『Hyanggyoyejip』 and he published copies of wooden board in Naju in 1586. 『Hyanggyoyejip』 and 『Dongjaeye』 were broadly accepted by the Toegye School to have Kim Seong-il as well as Ryu Seong-ryong and Gwon Ho-mun to excerpted 『Dongjaeye』 to use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students. Jeong Gyeong-se 『Yangjeongpyeon』 of Jeong Gyeong-se was the article to summarize 『Dongjaeye』 but it had the position comparable to 『Dongjaeye』 with wide application for Toegye School and others. 『Dongjaeye』 and 『Geohyangjapui』 of 『Hyanggyoyejip』 was widely accepted around Toegye School that Kim Seong-il edited it for 『Dongjaeye』and Jeong Gyeong-se summarized to edit it again as 『Yangjeongpyeon』. Therefore, 『Dongjaeye』 and 『Yangjeongpyeon』 were the cases that conspicuously demonstrated the trend of acceptance and facilitation for the teaching material for children of the Toegye School.

목차

1. 머리말
2. 『童蒙須知』의 수용과 이해
3. 『鄕校禮輯』의 유입과 간행
4. 수용과 활용: 『童子禮』와 『養正篇』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植(Choi, Sik). (2020).退溪學派 아동 교재의 수용과 활용 양상. 동방한문학, (83), 197-240

MLA

崔植(Choi, Sik). "退溪學派 아동 교재의 수용과 활용 양상." 동방한문학, .83(2020): 197-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