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2)

이용수 0

영문명
Standardization Scheme of Variant Characters in Korean Documents(2): “目” components are dominant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趙成德(Cho, Sung-du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2호, 457~4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고문헌에 나타난 異體字를 정리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데 어떠한 과정이 필요하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기존의 국가DB에서는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正字로 입력하였으나 사전은 DB와는 달리 구조상 변별성이 있는 자형은 별도의 자형으로 인정하여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별도의 字形으로 인식될 수 있는 字形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 유형들이 과연 별도의 표제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目이 포함된 자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目 역시 口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자형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다른 글자와 통합되어 새로운 글자를 형성할 때는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目의 변화 유형은 直, 眞, 県(縣), 睿, 鼎 등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일부 자형은 정자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원래 형태로 정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자형은 어느 쪽으로 정형화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한국고문헌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자형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문헌의 이체자 연구를 토대로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판별함으로써 한자문화권의 同異性을 확인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question about how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When old books digital database produc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o replace standard characters input with variants for readability reasons, so its original data and database data are inconsistent. But, want to publish a Character dictionary about Korean unique glyph, you should include all variants of each Character. But we can t get all the income in Character glyph. We must judge the rational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ype characteristics of variant Characters are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ant Characters are prefixes is also explained. This paper mainly studies a kind of words which contain “目” components. as well as 口 Component 目 is used alone without any change in shape, but when a word is generated with other components, no matter the number of strokes, components and strokes, there are many glyph changes. The change of component s 目 can b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直, 眞, 県(縣), 睿, 鼎. Some Characters suitably summarize standard characters; some characters need new glyph characters; some characters ar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lassification to generalize. 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many variants characters in Korean old works, do not exist in Chinese and Japanese. I hop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an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circle of Han-characters in East Asia.

목차

1. 서론
2. 이체자 유형과 정형화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成德(Cho, Sung-duk). (2020).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2). 동방한문학, (82), 457-475

MLA

趙成德(Cho, Sung-duk). "한국문헌 소재 이체자 정형화 방안(2)." 동방한문학, .82(2020): 457-4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