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居昌 절의 정신의 확산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expand of the Geochang’s faithful mind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朴晙遠(Park, Joon-wo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1호, 147~1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俛宇 郭鍾錫(1846~1919)은 거대한 산맥이다. 그가 1896년에 거창지역에 이주하자 그의 문하에서 일제의 침탈에 저항했던 수많은 제자들이 배출되었고, 거창은 독립운동의 요충지가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에 그는 제자인 重齋 金榥 (1896~1978)을 통해서, 心山 金昌淑(1879~1962)을 파리의 평화회의에 파견하여 조선 독립의 당위성을 세계만방에 알리려고 했다. 이것이 바로 유림들의 독립운동사에 길이 남을 파리장서 사건이다. 이러한 면우의 독립에 대한 투철한 의지와 절의정신은 그 후 많은 제자들에게 전해졌고, 이 제자들은 각각 또 다른 자신의 제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면우의 사상과 행동방식은 이른바 제자의 제자인 ‘再傳弟子’에게까지 산줄기가 뻗어나가서 일제 강점기 우리의 지성사에서 우뚝 솟은 ‘면우산맥’을 이룬 셈이다. 이 재전제자들은 각자의 향리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인 일제에 대한 저항과 절의의 정신을 각각 실천하고 있었다. 필자는 그 구체적 사례로 면우의 재전제자인 一窩 李冀洙(1896~1974)의 삶과 문학세계를 조명했다. 그는 면우의 제자였던 東菴 李鉉郁(1879∼1948)의 제자이고, 파리장서 사건의 실행자인 김황, 김창숙 등과 친밀한 교유와 교류가 있었던 인물이다. 면우라는 산맥에서 시작된 독립과 절의정신의 발양이라는 견고한 흐름은 그의 재전제자인 이기수에게서 또 다른 마지막 산봉우리를 펼치고 있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문집인 『일와사고』에 수록된 시세계를, ‘1) 가문의 화합과 가족애, 2) 자연으로의 회귀와 산수시, 3) 순국의사 추모와 우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중에서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殉國義士贊 이라는 8편의 연작 찬시이다. 이 8편의 찬시에서 작자는 일제의 침탈에 저항하여 순국한 이순신(1545~1598), 민영환(1861~1905), 이준(1859~1907), 안중근(1879~1910), 이봉창(1901~1932), 윤봉길(1908~1932), 백정기(1896~1934), 유관순(1902~1920) 모두 8분의 우국영웅과 의사들을 소재로 삼아 이들의 숭고하고 감동적인 생애를 그려내고 있다. 그는 이순신과 민영환의 애국적 헌신, 그리고 순국의사들이 거사했던 각각의 구체적인 사건들을 하나하나 상세하게 소개하면서, 자신의 생명을 초개처럼 던져서 독립투쟁에 나섰던 이들의 의거를 칭송하고 있다. 그는 각각의 시편에서 이들의 구체적인 우국충정에 각인된 생애와 의거의 내용을 직접 서술하고, 뒷부분에서 서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들의 행적을 찬양하고 있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구한말 혼란기를 거쳐, 일제에게 나라의 국권을 빼앗기는 매우 암울한 시기였다. 또한 학문적으로도 조선의 국시였던 유학사상이 급격하게 쇠퇴하고, 국외에서 신문물이 밀려들어오던 격동의 시절이었다. 이처럼 난세를 살았던 일와는 일제에 의해 강요된 신학문의 조류를 끝까지 거부하고, 전통 학문인 유학을 고수하는 삶의 방식을 선택하였다. 결국 그는 평생 동안 절의를 지키며 모든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거부하고, 말년에 구국을 위한 일념으로 학교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온 힘을 쏟았다. 이것은 일제의 국권찬탈에 대해서 저항했던 당대 유학자 지식인들의 전형적인 삶의 모델 중의 하나였다. 그는 면우의 제자 이현욱을 스승으로 삼았고, 파리에 장서를 보내려던 면우의 계획을 직접 실천에 옮긴 중재 김황을 평생의 지기로 두었다. 그래서 면우의 재전제자가 되어, 면우의 학문과 일제에 항거하는 자주독립과 절의라는 거창의 정신적 전통을 이어받았다. 그리하여 면우의 학맥을 계승한 김황, 김창숙, 안정려, 하정규 등의 면우 제자들과 교류하고 그들과 의기투합해서 거창의 절의 정신을 더욱 확산시켰다. 그는 평생을 조국의 독립과 우국적 자세를 견지하는 유학자적 본분을 유지하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Myeonwoo Kwak Jong Seok (1846~1919) is a huge mountain range. When he moved to Geochang in 1896, there were many people under his teaching who resisted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well known that Geochang has become a hub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especially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he sent Simsan Kim Chang Sook (1879~1962)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rough his disciple, Jungjae Kim Hwang (1896~197), to inform the world of the reasons for Korean independence. This is the Pari Jangseo, which will be remembered as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Confucians. Myeonwoo s commitment to independence and faithful mind have since been passed on to many disciples. Each of these disciples affected others of their own. As a result, Myeonwoo s thoughts and actions were inherited to the disciples of disciples and the ‘Myeonwoo Mountain Range’ mentality stands out from our histo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se disciples of disciples each practiced a resistance to and faith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which was their own calling in their own hometown. As a specific example, I reviewed the life and literary world of Ilwa Lee Ki Soo (1896~1974), a disciple of Myeonwoo s disciple. He is a disciple of Dongam Lee Hyun Wook (1879~1948) who was a disciple of Myeonwoo, and he was in close contact with Kim Hwang and Kim Chang Sook, the activist of the Pari Jangseo. The solid flow of independence and faithful mind that began in the range of Myeonwoo unfolded into another mountain peak through Lee Ki Soo.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poems in his collection, 『Ilwasago』, divided into 1) family harmony and family love, 2) return to nature and landscape poetry, and 3) remembrance of the patriots and patriotism. Among these, the series of eight admiration poems called 『Anthology of patriots(殉國義士贊)』gets attention. In these eight poems, all eight heroes, Lee Soon Shin (1545~1598), Min Young Hwan (1861~1905), Lee Joon (1859~1907), Ahn Jung Geun (1879~1910), Lee Bong Chang (1901~1932), Yoon Bong Gil (1908~1932), Baek Jung Gi (1896~1934), and Ryu Kwan Soon (1902~1920) who died rallying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re depicted through their noble and impressive lives. He introduced the patriotic devotion of Lee Soon Shin and Min Young Hwan, and each of the specific events of the patriots’ deaths. He praised the heroic deeds of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independence. In each poem, he describes the specific life and heroic deed of each, and praises their deeds at the end. He liv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which was a very gloomy period when the nation was deprived of sovereignty by Japan. In addition, the Confucian philosophy, which was the national policy of Joseon, declined sharply. It was a turbulent period when new culture came in from abroad. Ilwa, who lived in this difficult time, rejected the modern sciences impos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chose a way of life that adhered to traditional study. Eventually, he refused government jobs in his life, founded a school with the intention of saving the nation, and devoted himself to fostering students during the later part of his life. This was one of the typical life models of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sisted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at time. He considered Myeonwoo s disciple, Lee Hyun Wook, as his teacher, and set Kim Hwang, who took action for Myeonwoo s plan for the Pari Jangseo, as a role model. So he became a disciple of a disciple of Myeonwoo, and inherited the spiritual tradition of Geochang, independence and a faithful mind against studies and Japanese imperialism. Thus, he interacted with Myeonwoo disciples such as Kim Hwang, Kim Chang Sook, Ahn Jung Ryeo, and Ha Jung Kyu, who inherited Myeonwoo s academic line and expanded the faithful mind of Geochang through cooperation. He remained a Confucian scholar for independence and patriotism for his entire life.

목차

1. 머리말
2. 一窩의 생애와 학문적 연원
3. 『一窩私稿』에 대하여
4. 一窩의 시세계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晙遠(Park, Joon-won). (2019).居昌 절의 정신의 확산. 동방한문학, (81), 147-173

MLA

朴晙遠(Park, Joon-won). "居昌 절의 정신의 확산." 동방한문학, .81(2019): 147-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