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에서 랑케 역사학의 수용

이용수 472

영문명
Reception of Ranke’s History in Korea: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최호근(Choi, Ho-Keu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4권, 241~27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서구 근대 역사학의 도입 이후 한국에서 나타난 ‘랑케 현상’의 원인과 특징적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실증사가’로 고착된 랑케의 이미지를 수정하고자 한다. 지난 한 세기 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랑케 역사학의 수용은 ‘실증사학의 비조’라는 조야한 랑케 이미지가 그의 저작들에 대한 독서와 해석의 축적을 통해 수정되어 온 과정이었다. 그러나 이 길은 결코 단선적이거나 지속적인 진보의 과정이 아니었다. 197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학계는 메이지유신 이후 한 세대 동안 일본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랑케를 그저 ‘실증사가’로서 받아들였다. 해방 이후에도 한 세대 동안 한국 역사가들의 랑케 이미지는 거의 바뀌지 않았다. 일부 역사가들이 긍정적 의미에서 랑케를 실증사학의 표상으로 받아들였던 데 반해, 또 다른 일부 역사가들은 부정적인 시각에서 랑케를 식민사관의 운반체(vehicle)로 활용된 실증사학의 개창자로 간주했다. 양측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중요했던 것은 랑케 역사학의 내용이 아니라 학문 권력의 기호로서 랑케의 명성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1970년대에 와서야 바뀌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서양사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다면적인 랑케 역사학의 면모가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역사학계 안팎에 널리 유포된 실증사가로서 랑케의 이미지가 사라지기까지는 앞으로도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modify the image of Ranke, which has been fixed as a father of “scientific” historical school, by examining the ‘Ranke phenomenon’ that appeared in Korea since the introduction of modern Western historiography. The reception of Ranke’s theory and methodology in Korea over the past century has been a process in which the crude image of Ranke as “scientific” historian has been modifi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his works. However, this path was never a monolithic and/or continuous process of progress. Until the mid-1970s, the Korean academia, like Japanese scholar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for a generation, accepted Ranke just as a “positivist” historian. Even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e image of Ranke among Korean historians hardly changed for a generation. While some historians accepted Ranke as a symbol of empirical historian in a positive sense, others regarded him as an pioneer of “scientific school of history” used as a vehicle for colonial view of history from a negative perspective. What was of common importance to both sides was Ranke’s reputation as a symbol of academic power, not the content of his historiography. This perception only began to change in the 1970s. From this time on, the aspect of multifaceted historical thoughts of Ranke was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of historians who major Western history. Nevertheless, it will take a long time before Ranke’s existing image disappears which has already been widely distributed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community of historical studies.

목차

들어가는 말
일제 강점기까지 랑케 수용: 모호한 시원
해방 후 1970년대 초까지 랑케 해석: 간접화법의 한계
1970년대 중반 이후 랑케상의 변화: 이해와 전유의 모색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호근(Choi, Ho-Keun). (2021).한국에서 랑케 역사학의 수용. 한국사학사학보, 44 , 241-278

MLA

최호근(Choi, Ho-Keun). "한국에서 랑케 역사학의 수용." 한국사학사학보, 44.(2021): 241-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