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도 국경분쟁

이용수 509

영문명
China-India Border Dispute: Lack of Standard for Border Negotiation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구자선(Koo, Jaseon)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54집, 409~456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은 14개의 국가와 육상국경을 맞대고 있다. 건국 이후 중국은 크고작은 국경 분쟁을 겪었고, 1960년대와 1990년대 집중적으로 국경조약을통해 국경을 획정했다. 그러나 인도와는 국경조약을 맺지 못하고 지금까지 분쟁을 겪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중국과 인도의 국경분쟁이 생긴 원인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분쟁이 해결되지 않은 원인에 주목한다. 아편전쟁 이후 청나라는 서구 열강들과 불평등 조약을 맺고영토를 할양할 수밖에 없었다. 건국 이후 중국은 이러한 불평등 조약들이무효라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국경을 획정할 때에는 판단의 기준이 필요했다. 그리하여 과거 맺은 불평등 조약들을 수용하여 국경을 획정하였다. 그러나 인도와는 그러한 근거들이 모호했다. 심라조약은 인도의 식민 당국과 티베트가 맺은 조약이고 청 정부는 서명을 거부했다. 서쪽지역은 열강들과 조약을 맺은 것도 아니고 인도 식민당국이 지도에 그은 선만 남아 있었다. 1959년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한 이후 중국은 국경획정 필요성을 느꼈고, 심라 회의 유산인 맥마흔 라인을 인정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대신 인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잠무 카슈미르의 악사이친지역을 인도가 양도하기를 바랬다. 악사이친은 사람이 살지 않는 황무지에 불과하지만 티베트와 신장을 잇는 유일한 도로가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도의 거부로 분쟁이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중국 인도 국경분쟁의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바로 국경협정의 기준이 존재하지않는다는 것이다. 그 외에 분쟁지역의 면적, 분쟁지역의 중요성, 양국의 민족주의, 대국의식은 설명력이 부족하다.

영문 초록

China has borders with 14 countries: since its founding, China has experienced large and small border disputes, and it has intensively defined its borders through border treaties in the 1960s and 1990s. However, the border treaty with India has not been established and has been in conflict.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causes of border disputes between China and India. This paper focuses on the cause of the dispute not being resolved. After the Opium War, the Qing Dynasty had to make an inequality treaty with Western powers and to cede the territory. After establishing of state, China declared these unequal treaties invalid, but in fact, when demarcating the border, it needed a standard of judgment. Thus, it accepted the past unequal treaties and defined the border, but such grounds were vague with India. The Treaty of Simla was a treaty signed by the Indian colonial authorities and Tibet, and the Qing government refused to sign it; the western region did not sign a treaty with the powers, but only the lines drawn by the Indian colonial authorities remained on the map. After the Dalai Lama s exile to India in 1959, China felt the need for border demarcation, and showed an attitude to recognize the McMahon line, the legacy of the Simla Conference. Instead, they hoped India would transfer the  Aksai Chin region of Jammu Kashmir, where India claims sovereignty.  Aksai Chin is just a wasteland, but there is the only road that connects Tibet and Xinjiang, but the dispute has not been resolved by India s refusal. Therefore,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the Chinese Indian border dispute is that there is no standard for border agreements. In addition, the size of disputed area, the importance of the disputed area, nationalism of both countrie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great nation are lacking of explanation power.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기존연구
Ⅲ. 식민지의 유산
Ⅳ. 기준점이 없는 국경협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선(Koo, Jaseon). (2021).중국-인도 국경분쟁. 중앙사론, 54 (1), 409-456

MLA

구자선(Koo, Jaseon). "중국-인도 국경분쟁." 중앙사론, 54.1(2021): 409-4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