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위한 AAC 부수어휘 조사

이용수 436

영문명
A Survey on AAC Fringe Vocabulary to Support Personal Assistance Service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다은(Daeun Parka) 신상은(Sangeun Shi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4, 820~833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을 돕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중증장애인이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을 이용하여 활동지원사에게 효과적으로 자신의 필요와 요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기반하여 어휘에 대한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활동지원사들이 공통적으로 많이 필요로 하는 상황 별 부수어휘 목록을 명사를 중심으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방법: 11개의 문헌에서 보고하는 명사 어휘를 활동지원서비스의 영역별로 분류한 후, 체크리스트 형태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105명의 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에 대해서 각 어휘별 어휘공통성 백분율을 산출한 후 공통적으로 많이 요구하는 어휘를 분석하였다. 결과: 50% 이상의 어휘공통성을 보인 63개의 명사가 활동지원서비스 7개 영역에서 확인된 244개의 부수어휘 목록에서 확보되었다. 244개의 어휘는 외출 시 동행 영역에서 112개, 청소 및 주변 정돈에서 29개, 개인위생관리에서 27개, 취사 영역에서 26개, 식사도움에서 20개, 그 밖의 제공서비스 영역에서 20개, 등하교 및 출퇴근 영역에서 10개의 어휘로 구성되어 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활동지원서비스의 각 상황 별로 요구되는 주요 명사를 장애인의 AAC도구에 반영하여 자신의 요구 사항을 활동지원사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장애인이라할지라도일상생활에서필요한어휘를제공하고있기때문에그활용도가높을것으로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which help the disabled to carry out their daily life. T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roaches more effectively in daily communication, it is essential to include the ap-propriate core and fringe vocabulary in the AAC system.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which have reported fringe vocabulary compared to core vocabulary,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noun list that can be used to promot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their assistants in each communication situation.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licit frequently used nouns in each communica-tion situation. Then,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nouns with high word commonal-ity across 105 personal assistants. Results: Sixty-three nouns with more than 50% of word commonality across personal assistants were identified from the 244 fringe vocabulary; consisting of 112 nouns in the area of going out, 29 in cleaning, 27 in personal hygiene, 26 in cooking, 20 in meal supporting, 20 in other service areas, and 10 in commuting. Conclu-sion: The identified nouns are expected to help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to express their needs and wants more clearly and effectively using those nouns embed-ded in their AAC systems. The list of nouns can be used not only for people who receiv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but also for people who rely on AAC systems to express their daily need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ORCI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다은(Daeun Parka),신상은(Sangeun Shin). (2021).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위한 AAC 부수어휘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4), 820-833

MLA

박다은(Daeun Parka),신상은(Sangeun Shin).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위한 AAC 부수어휘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4(2021): 820-8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