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기관리 기관으로서의 경찰매뉴얼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
이용수 230
- 영문명
- Proposal for Improvements of the Police Manual Regarding Crisis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명진(Lee Myoungjin) 최우정(Choi Woojung) 이정한(Lee Jungh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6호, 41~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위기관리 매뉴얼에서는 유관기관으로 군부대 및 경찰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경찰의 단위직무들은 재해지역 교통통제 및 치안유지;인명구조 및 실종자 수색활동 등 매우 포괄적으로 작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인명구조 및 실종자 수색활동의 경우 등 재난관리의 주된 업무는 소방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위기관리 매뉴얼에 경찰의 활동범위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해외의 경찰 매뉴얼 현황을 살펴보았고;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경찰이 재난 발생 시 수행해야 하는 단위직무를 국내 위기관리 매뉴얼 분석 및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세부적으로 추가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발생 시 경찰이 즉각적인 개입과 대응을 할 수 있는 매뉴얼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manual for crisis management in Korea includes military units and the police as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the duties of police units are very broad;such as traffic control and security maintenance in disaster areas;lifesaving;and the search for missing persons;and the main tasks of such disaster management actions as lifesaving and the search for missing persons are led by fire-fighting units or local governments. Therefore;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scope of police activit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this study;police manuals in Korea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Korean manual. In addition;through an analysis of common unit tasks that the police should perform in the event of a disaster;domestic crisis management manuals;and overseas cases;additional police unit duties are proposed in detail. As a result;we suggest provisions in the manual that allow the police to immediately intervene in response to disaster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및 분석 틀
3. 이론적 배경
4. 국외 경찰의 역할과 임무
5. 국내외 경찰 매뉴얼의 현황
6. 위기관리 매뉴얼 공통단위 직무 도출
7.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기자동차와 가솔린자동차의 실물화재 비교 분석
- 도시산불 대응을 위한 GIS 기반 주민최적대피경로설정 알고리즘 개발
-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지하수위 장기 계측 장치의 개발과 분석
- 채널형 관통 합성부를 갖는 강거더 교량의 전단면 바닥판 가설검토 연구
- 소유역 첨두홍수량 과다 산정에 대처하는 매개변수 조정 방안
- 소화전용 소방호스의 내용연수에 관한 연구
- 적층공법 적용 모르타르의 경화 전⋅후 특성에 대한 기초실험 평가
- 화재 확대 및 건축물 연면적을 고려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 실측 강우량과 센서 계측 강우량 관계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강우량 예측 기법 개발 및 평가
- 하수 및 정수처리시설 디지털트윈 시뮬레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항목 분석
- 격자단위 공간분석자료를 활용한 정량적 홍수피해 평가
- 공극수의 전해도에 따른 점토 광물의 팽창 특성
- AI와 IoT 센서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건축물 실시간 상태감시 및 예측시스템 개발
- 코로나19 전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 다중이용시설 내 계단실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플룸에 대한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 ANN 기반 도시침수 위험기준 예측 모델 개발 및 학습자료의 확장에 따른 영향 평가
- 교량 방호벽의 염해 실태 분석 및 구조 안전성 평가
- 탄성받침용 혼합고무재료의 노화에 따른 전단 특성 변화
- 도로유출수로 인한 하천변 토양오염 연구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 지역의 Flood Nomograph 선정
- 페놀폼 단열 소재의 배관보온재 적용에 관한 연구
- 동결융해에 따른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동탄성계수
- 위기관리 기관으로서의 경찰매뉴얼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
-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점성토 지반의 군말뚝 p-y 곡선 산정
- 섬진강 수계 수질-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평가 및 재산정
- 세립토 기반 토석류의 유동학적 물성 영향요인 및 측정방법 분석
- 화재 시 다중밀집시설의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 개발
- 측정자료 기반의 유사 수지 분석과 하천 측량에 의한 하상 변동량의 비교
- 사방댐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외관상태평가 적용성 연구
- 효율적인 국가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안전통신망(PS-LTE) 표준운영절차(SOP) 교육훈련 모델 개발 및 활용 방안
- 물사용 실태 및 물 절약 인식조사
-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여과형 비점오염시설의 역세척시 여재 구성별 수리학적특성 및 처리효율 분석
- 하천유지유량 변동에 따른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화재⋅피난시뮬레이션 수행 시 소방설비 작동 적정성 판단에 관한 연구
- 생활가뭄에 대한 피해규모 추정기법 개발 및 적용
- 급결제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숏크리트의 특성
- 수소충전소 사고대응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 화재경보음 발생시 시각장애인 피난유도 음성안내음 설정에 관한 연구
- DSCT 파일과 강재 파일을 적용한 잔교의 거동 비교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6호 목차
- 오리피스를 적용한 스프링클러 배관의 감압비교 연구
-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노반보강공법 현장부설에 따른 자갈궤도 동적거동 비교분석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반강성-강성 차량방호울타리 전이구간의 충돌 거동 분석
- 회복력 비용지수를 활용한 지역의 재난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 도시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