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전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이용수 98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Fine Dust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우철(Choi, Woo-Chul) 정규수(Cheong, Kyu-S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6호, 395~4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의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농도를 종속변수, 기상인자 및 대기오염물질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미세먼지 영향인자 중 지배인자는 CO로서 PM10, PM2.5에서 모두 다른 변수보다 월등히 높은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코로나 이후에도 변수 간의 영향력은 오히려 더욱 높아졌다. 국외 편서풍 영향을 보다 많이 받는 PM10의 경우 풍향, 풍속 변수의 영향력이 낮아졌는데, 이는 중국의 봉쇄정책에 따른 국외 대기오염물질의 감소 때문으로 추정된다. 계절별로 보면, 겨울의 경우 온⋅습도가 높을 때 미세먼지 농도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코로나 이후에 그 영향력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봄에는 편서풍과 중국의 봉쇄정책 영향으로 풍향, 풍속 영향력이 낮아졌다.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계절인 여름과 가을의 경우 코로나 발생 이후 CO의 영향력이 오히려 높게 분석되었다. 향후 이러한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환경과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efore and after COVID-19. Of these, the dominant factor was CO, and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increased even after COVID-19. In the case of PM10, the influence of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variables decreased,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reduction of westerly-based foreign air pollutants following China’s containment policy. Comparative analysis by season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as higher in winter. In spring, the influence of wind direction and speed decreased with changes in the westerly wind and the influence of China’s containment policy. In summer and autumn,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relatively low, the influence of CO after COVID-19 was rather high, indicating that continuous CO management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ir pollutants and the meteorological environment, it is judged that fine dust reduction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목차
1. 서론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기자동차와 가솔린자동차의 실물화재 비교 분석
- 도시산불 대응을 위한 GIS 기반 주민최적대피경로설정 알고리즘 개발
-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지하수위 장기 계측 장치의 개발과 분석
- 채널형 관통 합성부를 갖는 강거더 교량의 전단면 바닥판 가설검토 연구
- 소유역 첨두홍수량 과다 산정에 대처하는 매개변수 조정 방안
- 소화전용 소방호스의 내용연수에 관한 연구
- 적층공법 적용 모르타르의 경화 전⋅후 특성에 대한 기초실험 평가
- 화재 확대 및 건축물 연면적을 고려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 실측 강우량과 센서 계측 강우량 관계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강우량 예측 기법 개발 및 평가
- 하수 및 정수처리시설 디지털트윈 시뮬레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항목 분석
- 격자단위 공간분석자료를 활용한 정량적 홍수피해 평가
- 공극수의 전해도에 따른 점토 광물의 팽창 특성
- AI와 IoT 센서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건축물 실시간 상태감시 및 예측시스템 개발
- 코로나19 전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 다중이용시설 내 계단실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플룸에 대한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 ANN 기반 도시침수 위험기준 예측 모델 개발 및 학습자료의 확장에 따른 영향 평가
- 교량 방호벽의 염해 실태 분석 및 구조 안전성 평가
- 탄성받침용 혼합고무재료의 노화에 따른 전단 특성 변화
- 도로유출수로 인한 하천변 토양오염 연구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 지역의 Flood Nomograph 선정
- 페놀폼 단열 소재의 배관보온재 적용에 관한 연구
- 동결융해에 따른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동탄성계수
- 위기관리 기관으로서의 경찰매뉴얼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
-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점성토 지반의 군말뚝 p-y 곡선 산정
- 섬진강 수계 수질-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평가 및 재산정
- 세립토 기반 토석류의 유동학적 물성 영향요인 및 측정방법 분석
- 화재 시 다중밀집시설의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 개발
- 측정자료 기반의 유사 수지 분석과 하천 측량에 의한 하상 변동량의 비교
- 사방댐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외관상태평가 적용성 연구
- 효율적인 국가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안전통신망(PS-LTE) 표준운영절차(SOP) 교육훈련 모델 개발 및 활용 방안
- 물사용 실태 및 물 절약 인식조사
-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여과형 비점오염시설의 역세척시 여재 구성별 수리학적특성 및 처리효율 분석
- 하천유지유량 변동에 따른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화재⋅피난시뮬레이션 수행 시 소방설비 작동 적정성 판단에 관한 연구
- 생활가뭄에 대한 피해규모 추정기법 개발 및 적용
- 급결제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숏크리트의 특성
- 수소충전소 사고대응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 화재경보음 발생시 시각장애인 피난유도 음성안내음 설정에 관한 연구
- DSCT 파일과 강재 파일을 적용한 잔교의 거동 비교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6호 목차
- 오리피스를 적용한 스프링클러 배관의 감압비교 연구
-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노반보강공법 현장부설에 따른 자갈궤도 동적거동 비교분석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반강성-강성 차량방호울타리 전이구간의 충돌 거동 분석
- 회복력 비용지수를 활용한 지역의 재난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 도시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