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극수의 전해도에 따른 점토 광물의 팽창 특성
이용수 20
- 영문명
- Swelling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s According to the Ionic Strength in Pore Water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강석구(Gang Seok Gu) 정종원(Jung Jongw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6호, 201~20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극수의 전해도 변화에 따른 대표적인 점토광물 카올리나이트(Kaolinite);일라이트(Illite);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벤토나이트(Bentonite)의 포화 시 팽창 특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증류수(distilled water;DW)에서 평균적으로 카올리나이트는 10.95%;일라이트는 12.51%;벤토나이트는 26.60%의 평균 팽창률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몬모릴로나이트는 152.6%로써 상대적으로 매우 큰 팽창률을 나타내고 있다. 1 M 소금물(1 M brine)에서 평균적으로 카올리나이트는 12.42%;일라이트는 16.23%;그리고 벤토나이트는 21.91%의 팽창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몬모릴로나이트는 0.83% 로써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팽창률을 나타내고 있다. 몬모릴로나이트를 포함한 지반의 경우;포화도 및 전해도의 상승과 함께 높은 팽창률이 예상된다.
영문 초록
An experiment to evaluate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during saturation of representative clay minerals;kaolinite;illite;montmorillonite;and bentonite;according to the ionic strength of the pore water;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distilled water (DW);the average swelling ratios of kaolinite;illite;and bentonite were 10.95%;12.51%;and 26.60%;respectively. However;montmorillonite exhibited a relatively large swelling ratio of approximately 152.6%. In 1 M brine;kaolinite;illite;and bentonite exhibited swelling ratios of 12.42%;16.23%;and 21.91%;respectively;while that of montmorillonite was relatively small (0.83%). In the case of the ground containing montmorillonite;a high swelling ratio is expected with an increase in saturation and conductiv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팽창 실험 장비 및 방법
4. 실험 결과 및 고찰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기자동차와 가솔린자동차의 실물화재 비교 분석
- 도시산불 대응을 위한 GIS 기반 주민최적대피경로설정 알고리즘 개발
-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지하수위 장기 계측 장치의 개발과 분석
- 채널형 관통 합성부를 갖는 강거더 교량의 전단면 바닥판 가설검토 연구
- 소유역 첨두홍수량 과다 산정에 대처하는 매개변수 조정 방안
- 소화전용 소방호스의 내용연수에 관한 연구
- 적층공법 적용 모르타르의 경화 전⋅후 특성에 대한 기초실험 평가
- 화재 확대 및 건축물 연면적을 고려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 실측 강우량과 센서 계측 강우량 관계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강우량 예측 기법 개발 및 평가
- 하수 및 정수처리시설 디지털트윈 시뮬레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항목 분석
- 격자단위 공간분석자료를 활용한 정량적 홍수피해 평가
- 공극수의 전해도에 따른 점토 광물의 팽창 특성
- AI와 IoT 센서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건축물 실시간 상태감시 및 예측시스템 개발
- 코로나19 전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 다중이용시설 내 계단실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플룸에 대한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 ANN 기반 도시침수 위험기준 예측 모델 개발 및 학습자료의 확장에 따른 영향 평가
- 교량 방호벽의 염해 실태 분석 및 구조 안전성 평가
- 탄성받침용 혼합고무재료의 노화에 따른 전단 특성 변화
- 도로유출수로 인한 하천변 토양오염 연구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 지역의 Flood Nomograph 선정
- 페놀폼 단열 소재의 배관보온재 적용에 관한 연구
- 동결융해에 따른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동탄성계수
- 위기관리 기관으로서의 경찰매뉴얼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
-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점성토 지반의 군말뚝 p-y 곡선 산정
- 섬진강 수계 수질-수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평가 및 재산정
- 세립토 기반 토석류의 유동학적 물성 영향요인 및 측정방법 분석
- 화재 시 다중밀집시설의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 개발
- 측정자료 기반의 유사 수지 분석과 하천 측량에 의한 하상 변동량의 비교
- 사방댐 유지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외관상태평가 적용성 연구
- 효율적인 국가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안전통신망(PS-LTE) 표준운영절차(SOP) 교육훈련 모델 개발 및 활용 방안
- 물사용 실태 및 물 절약 인식조사
- 해외 재난 발생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여과형 비점오염시설의 역세척시 여재 구성별 수리학적특성 및 처리효율 분석
- 하천유지유량 변동에 따른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화재⋅피난시뮬레이션 수행 시 소방설비 작동 적정성 판단에 관한 연구
- 생활가뭄에 대한 피해규모 추정기법 개발 및 적용
- 급결제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숏크리트의 특성
- 수소충전소 사고대응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 화재경보음 발생시 시각장애인 피난유도 음성안내음 설정에 관한 연구
- DSCT 파일과 강재 파일을 적용한 잔교의 거동 비교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6호 목차
- 오리피스를 적용한 스프링클러 배관의 감압비교 연구
-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노반보강공법 현장부설에 따른 자갈궤도 동적거동 비교분석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반강성-강성 차량방호울타리 전이구간의 충돌 거동 분석
- 회복력 비용지수를 활용한 지역의 재난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 도시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